「古代文明」は韓国語で「고대 문명」という。
|
![]() |
・ | 고대사 연구는 고대 문명과 그들의 생활 방식을 밝혀냅니다. |
古代史の研究は、古代文明とその生活様式を明らかにします。 | |
・ | 세계사 수업에서 고대 문명에 대해 배웠다. |
世界史の授業で、古代文明について学んだ。 | |
・ | 역사학자들은 고대 문명의 언어를 해독하고 있다. |
歴史学者は古代文明の言語を解読している。 | |
・ | 역사학자들은 고대 문명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
歴史学者は古代文明の研究に没頭している。 | |
・ | 출토품에서 고대 문명의 생활양식이 드러났다. |
出土品から古代文明の生活様式が明らかになった。 | |
・ | 우상 숭배는 고대 문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偶像崇拝は古代文明でも見られる。 | |
・ |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인도,중국이 4대 문명으로서 열거되고 있다. |
古代文明の発祥地であるエジプト、メソポタミア、インド、中国が4大文明として挙げられている。 | |
・ | 메소포타미아 평원은 서아시아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
メソポタミア平原は西アジア古代文明発祥の地として知られている。 | |
・ | 고대 문명의 발상지는 황하나 나일강 같은 큰 강 지역이다. |
古代文明の発祥地は黄河やナイルのような大河の流域である。 | |
・ | 고고학자들은 고대 문명의 유물을 발견했습니다. |
考古学者たちは古代の文明の遺物を発見しました。 | |
한국전쟁(朝鮮戦争) > |
연대별(年代別) > |
황태자비(皇太子妃) > |
강제 징집(強制連行) > |
임진왜란(文禄・慶長の役) > |
유물(遺物) > |
여신(女神) > |
신라(新羅) > |
수라간(水刺間) > |
헤이그 협약(ハーグ条約) > |
귀족(貴族) > |
왕족(王族) > |
음서제(試験無しで採用すること) > |
나치(ナチ) > |
독립운동가(独立運動家) > |
왜적(敵である日本) > |
제주사삼사건(済州島4.3事件) > |
매장 문화재(埋蔵文化財) > |
춘향전(春香伝) > |
원나라(元) > |
출토품(出土品) > |
사적(史跡) > |
삼일운동(3.1運動) > |
메시아(メシア) > |
천민(賤民) > |
상궁(尚宮) > |
삼국지(三国志) > |
파라오(ファラオ) > |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 |
고인돌(支石墓)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