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代文明」は韓国語で「고대 문명」という。
|
![]() |
・ | 세계사 수업에서 고대 문명에 대해 배웠다. |
世界史の授業で、古代文明について学んだ。 | |
・ | 역사학자들은 고대 문명의 언어를 해독하고 있다. |
歴史学者は古代文明の言語を解読している。 | |
・ | 역사학자들은 고대 문명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
歴史学者は古代文明の研究に没頭している。 | |
・ | 출토품에서 고대 문명의 생활양식이 드러났다. |
出土品から古代文明の生活様式が明らかになった。 | |
・ | 우상 숭배는 고대 문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偶像崇拝は古代文明でも見られる。 | |
・ |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인도,중국이 4대 문명으로서 열거되고 있다. |
古代文明の発祥地であるエジプト、メソポタミア、インド、中国が4大文明として挙げられている。 | |
・ | 메소포타미아 평원은 서아시아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
メソポタミア平原は西アジア古代文明発祥の地として知られている。 | |
・ | 고대 문명의 발상지는 황하나 나일강 같은 큰 강 지역이다. |
古代文明の発祥地は黄河やナイルのような大河の流域である。 | |
・ | 고고학자들은 고대 문명의 유물을 발견했습니다. |
考古学者たちは古代の文明の遺物を発見しました。 | |
・ | 물물교환은 고대 문명의 성립에 필수적인 요소였습니다. |
物物交換は古代の文明の成立に不可欠な要素でした。 | |
난세(乱世) > |
건국(建国) > |
왕궁(王宮) > |
기원후(紀元後) > |
역사학(歴史学) > |
고조선(古朝鮮) > |
전근대적(前近代的) > |
위안부(慰安婦) > |
마적(馬賊) > |
성곽(城郭) > |
원시사회(原始社会) > |
한일 합방(日韓併合) > |
청동기 시대(青銅器時代) > |
일제 강점기(日本統治時代) > |
명나라(明) > |
춘향전(春香伝) > |
막부(幕府) > |
구석기 시대(旧石器時代) > |
근현대사(近現代史) > |
수나라(隋) > |
읍성(邑城) > |
종주국(宗主国) > |
태자(太子) > |
세기(世紀) > |
황태자비(皇太子妃) > |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 |
보물(宝物) > |
단군신화(檀君神話) > |
과거사(歴史問題) > |
청나라(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