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界史」は韓国語で「세계사」という。
|
![]() |
・ | 세계사 수업에서 고대 문명에 대해 배웠다. |
世界史の授業で、古代文明について学んだ。 | |
・ | 세계사 교과서에 실린 지도는 매우 상세하다. |
世界史の教科書に掲載された地図は非常に詳細だ。 | |
・ | 세계사 연구가 현대의 국제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世界史の研究が、現代の国際関係を理解する手助けとなる。 | |
・ | 세계사에서 로마제국의 붕괴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
世界史の中で、ローマ帝国の崩壊は重要な出来事だった。 | |
・ | 세계사 강의에서는 각 시대의 중요한 사건들이 설명됐다. |
世界史の中で、ローマ帝国の崩壊は重要な出来事だった。 | |
・ | 세계사의 관점에서 근대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
世界史の視点から、近代化の過程が考察されている。 | |
・ | 세계사를 배움으로써 서로 다른 문화 교류의 역사를 알 수 있다. |
世界史を学ぶことで、異なる文化の交流の歴史を知ることができる。 | |
・ | 세계사 지식이 있으면 역사적 배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世界史の知識があれば、歴史的な背景を理解しやすくなる。 | |
・ | 세계사 문헌을 읽음으로써 역사적 시각이 넓어진다. |
世界史の文献を読むことで、歴史的な視点が広がる。 | |
・ | 세계사 교과서는 시대별 사건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
世界史の教科書は、時代ごとの出来事を詳しく説明している。 | |
・ | 세계사에서 산업혁명의 영향이 널리 논의되고 있다. |
世界史の中で、産業革命の影響が広く議論されている。 | |
・ | 세계사에서 프랑스 혁명은 중요한 전환점으로 꼽힌다. |
世界史の中で、フランス革命は重要な転換点とされる。 | |
・ | 세계사 강의에서 고대 이집트의 문화에 대해 배웠다. |
世界史の講義で、古代エジプトの文化について学んだ。 | |
・ | 세계사 책을 읽고 역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
世界史の本を読んで、歴史の流れ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 | |
・ | 세계사 연구가 역사적 오해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
世界史の研究が、歴史的な誤解を解消する助けとなる。 | |
・ | 세계사를 배움으로써 역사적인 사건의 배경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世界史を学ぶことで、歴史的な事件の背景を深く理解できる。 | |
・ | 세계사 책을 읽고 역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
世界史の本を読んで、歴史の流れ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 | |
・ | 세계사를 통해 여러 문명의 흥망을 알 수 있다. |
世界史を通して、さまざまな文明の興亡を知ることができる。 | |
・ | 세계사 수업에서 고대 그리스 철학에 대해 배웠다. |
世界史の授業で、古代ギリシャの哲学について学んだ。 | |
・ | 세계사 교과서에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
世界史の教科書には、重要な歴史的出来事が詳細に記録されている。 | |
・ | 일신교인 그리스도교의 등장과 보급은 세계사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이다. |
一神教であるキリスト教の登場と普及は、世界史における重要な転換点である。 | |
・ | 1991년 소련 붕괴후에 성립한 러시아는 다시 한번 세계사 무대에 등장했습니다. |
1991年のソ連崩壊後に成立したロシアは、再び世界史の舞台に登場しました。 | |
・ | 세계사적 관점에서 아시아를 고찰하다. |
世界史的観点からアジアを考察する。 |
중세(中世) > |
순국선열(殉国先烈) > |
거란(契丹) > |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 |
대한독립만세(大韓独立万歳) > |
말갈(靺鞨) > |
위안부(慰安婦) > |
궁(宮) > |
삼한(三韓) > |
복원 작업(復元作業) > |
출토품(出土品) > |
구한말(大韓帝国(旧韓国)末期) > |
고려(高麗) > |
삼국 시대(三国時代) > |
사대부(両班) > |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アウシュビッ.. > |
의녀(医女) > |
헤이그 협약(ハーグ条約) > |
사적(史跡) > |
신라(新羅) > |
난세(乱世) > |
궁녀(宮女) > |
음서제(試験無しで採用すること) > |
중세사(中世史) > |
신기원(新紀元) > |
왕관(王冠) > |
식민지(植民地) > |
고대 문명(古代文明) > |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다(歴史と伝統.. > |
후궁(後宮)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