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興亡」は韓国語で「흥망」という。
|
![]() |
・ | 이 역사책은 고대 문명의 흥망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この歴史書は古代文明の興亡を記録しています。 | |
・ | 세계사를 통해 여러 문명의 흥망을 알 수 있다. |
世界史を通して、さまざまな文明の興亡を知ることができる。 | |
・ | 문명의 흥망을 배우는 것은 역사의 교훈입니다. |
文明の興亡を学ぶことは歴史の教訓です。 | |
・ | 그 마을의 흥망은 기구한 운명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
その町の興亡は数奇な運命によって決まりました。 | |
・ | 문명의 흥망은 역사 속에서 반복돼 왔다. |
文明の興亡は歴史の中で繰り返されてきた。 | |
・ | 역병의 유행은 역사의 흐름을 급변시켜 문명의 흥망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
疫病の流行は、歴史の流れを急変させ、文明の興亡に重大な影響を与えてきた。 | |
・ | 전통 미술은 흥망의 위기에 처했다. |
伝統美術は衰亡の危機に瀕した。 | |
・ | 흥망성쇠란 번영하고 쇠퇴하는 것을 반복한다는 의미입니다. |
栄枯盛衰は、栄えることと衰退することを繰り返すという意味です。 | |
・ | 다양한 왕조가 생겨나고 멸방하는 흥망성쇠를 반복했다. |
さまざまな王朝が生まれては滅びての栄枯盛衰をくり返し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흥망성쇠(フンマンソンシェ) | 栄枯盛衰、繁栄と衰退、興亡盛衰 |
창건(創建) > |
영주(領主) > |
거란(契丹) > |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 |
전하(殿下) > |
육이오 전쟁(朝鮮戦争) > |
황제(皇帝) > |
사대부(両班) > |
임금(君主) > |
압축 성장(圧縮成長) > |
구중궁궐(九重の奥) > |
청동기 시대(青銅器時代) > |
고조선(古朝鮮) > |
유사전(有史前) > |
절터(寺の跡) > |
폐하(陛下) > |
임금님(王様) > |
역사관(歴史観) >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実録) > |
발해(渤海) > |
한강의 기적(漢江の奇跡) > |
매장 문화재(埋蔵文化財) > |
기원전(紀元前) > |
헤이그 협약(ハーグ条約) > |
역사상(歴史上) > |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戦) > |
시대(時代) > |
당대(当代) > |
백제(百済) > |
복원 작업(復元作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