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獅子吼」は韓国語で「사자후」という。
|
![]() |
・ | 사자후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마음에 와닿는 연설을 가리킨다. |
獅子吼とは人々に影響を与えるような心に響く大演説を指す。 | |
・ | 우등생의 사자후에는 설득력이 있다. |
優等生の獅子吼には説得力がある。 | |
・ | 사자후란 원래 불교에서 온 말이다. |
獅子吼とは元々、仏教からきた言葉である。 |
채소밭(野菜畑) > |
겉모습(見かけ) > |
예년(例年) > |
발족(発足) > |
기억(記憶) > |
주식(主食) > |
방목(放牧) > |
추가 대책(追加対策) > |
진원지(震源地) > |
복도(廊下) > |
방화범(放火犯) > |
가축화(家畜化) > |
주머니(ポケット) > |
곰팡이(カビ) > |
경리(経理) > |
양면성(両面性) > |
깔개(敷物) > |
일기장(日記帳) > |
정차(停車) > |
사자(ライオン) > |
대기근(大飢饉) > |
턱수염(あごひげ) > |
잔(杯) > |
신념(信念) > |
연봉(年俸) > |
블록체인(ブロックチェーン) > |
좌회전(左折) > |
과식(食べ過ぎ) > |
만발(満開) > |
배움(学び)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