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獅子吼」は韓国語で「사자후」という。
|
![]() |
・ | 사자후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마음에 와닿는 연설을 가리킨다. |
獅子吼とは人々に影響を与えるような心に響く大演説を指す。 | |
・ | 우등생의 사자후에는 설득력이 있다. |
優等生の獅子吼には説得力がある。 | |
・ | 사자후란 원래 불교에서 온 말이다. |
獅子吼とは元々、仏教からきた言葉である。 |
습기(湿気) > |
취사장(炊事場) > |
주부(主婦) > |
경영학(経営学) > |
착안점(着眼点) > |
탄탄대로(バラ色の未来) > |
주거래 은행(メインバンク) > |
오이(キュウリ) > |
사절(謝絶) > |
별일(変わったこと) > |
반대측(反対側) > |
들길(野道) > |
변화(変化) > |
더러움(汚れ) > |
별감(別監) > |
여드레(8日間) > |
자랑(自慢) > |
지방(脂肪) > |
속내(本音) > |
영공(領空) > |
성공 대로(成功への道) > |
수출국(輸出国) > |
주정(酒癖) > |
뽕(桑 (クワ)) > |
재색(才色) > |
바둑돌(碁石) > |
특정 분야(特定分野) > |
인사불성(人事不省) > |
목례(目礼) > |
경비(警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