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系」は韓国語で「인문계」という。
|
![]() |
・ | 인문계 학생들은 토론을 잘한다. |
人文系の学生はディスカッションが得意だ。 | |
・ | 인문계 강의가 특히 재미있다고 느꼈다. |
人文系の講義が特に面白いと感じた。 | |
・ | 인문계 연구는 인간의 문화와 역사를 탐구한다. |
人文系の研究は人間の文化や歴史を探求する。 | |
・ | 인문계의 전문 지식이 도움이 되는 직업을 가졌다. |
人文系の専門知識が役立つ仕事に就いた。 | |
・ | 인문계 학문에는 많은 철학적 물음이 담겨 있다. |
人文系の学問には多くの哲学的な問いが含まれている。 | |
・ | 인문계 학부에서 문학을 전공하고 있다. |
人文系の学部で文学を専攻している。 | |
・ | 인문계 서적을 많이 읽고 있어. |
人文系の書籍を多く読んでいる。 | |
・ | 인문계 연구자들이 모이는 심포지엄에 참석했다. |
人文系の研究者たちが集まるシンポジウムに出席した。 | |
・ | 인문계 졸업생은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
人文系の卒業生が多くの分野で活躍している。 | |
・ | 인문계 연구가 그의 세계관을 넓혔다. |
人文系の研究が彼の世界観を広げた。 | |
・ | 인문계 수업에서 많은 역사적 사실을 배웠다. |
人文系の授業で多くの歴史的事実を学んだ。 | |
・ | 인문계의 연구 성과가 학회에서 발표됐다. |
人文系の研究成果が学会で発表された。 | |
・ | 인문계 수업에서 토론 기술을 배웠다. |
人文系の授業でディベートの技術を学んだ。 | |
・ | 인문계 학문은 사회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
人文系の学問は社会の変化を理解するために不可欠だ。 | |
・ | 인문계 수업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다. |
人文系の授業では様々な文化に触れることができる。 | |
・ | 인문계 학부에서 다양한 시각을 배울 수 있다. |
人文系の学部で多様な視点を学ぶことができる。 | |
・ | 인문계 연구가 문학의 새로운 해석을 낳았다. |
人文系の研究が文学の新しい解釈を生み出した。 | |
・ | 인문계 전문서가 참고문헌으로 도움이 됐다. |
人文系の専門書が参考文献として役立った。 | |
・ | 인문계 도서관에서 귀중한 자료를 발견했다. |
人文系の図書館で貴重な資料を見つけた。 | |
・ | 인문계 학문은 사회의 여러 측면을 탐구한다. |
人文系の学問が社会のさまざまな側面を探求する。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인문계 고등학교(インブンゲ コドゥンハッキョ) | 商業高校と工業高校以外の高校 |
탐색전(探りあい) > |
키(箕) > |
말다툼(口喧嘩) > |
사냥(狩り) > |
여름용(夏用) > |
목전(目前) > |
반란(反乱) > |
미술사(美術史) > |
기상 예보사(気象予報士) > |
왕비(王妃) > |
매미(セミ) > |
농간(悪だくみ) > |
캐러멜(キャラメル) > |
사시(斜視) > |
지성(極めて誠実) > |
경화(硬化) > |
직류(直流) > |
버섯(キノコ) > |
수압(水圧) > |
전자기학(電磁気学) > |
원거리(遠距離) > |
성게(ウニ) > |
연필(鉛筆) > |
한국전쟁(朝鮮戦争) > |
생매장(生き埋め) > |
교대(交替) > |
국론 분열(国論分裂) > |
과외(家庭教師) > |
비슷한말(類義語) > |
아들(息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