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共生」は韓国語で「공생」という。
|
![]() |
・ | 자연과 공생하는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 |
自然と共生する方法を研究中です。 | |
・ | 경쟁은 공멸이 아닌 공생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
競争は共倒れではなく共生で至らなけばなりません。 | |
・ | 자연과의 공생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自然との共生を目指す活動が増えています。 | |
・ | 사람과 동물의 공생을 생각한 도시 계획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人と動物の共生を考えた都市計画が進んでいます。 | |
・ | 환경과의 공생을 주제로 한 영화를 봤어요. |
環境との共生をテーマにした映画を観ました。 | |
・ | 공생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읽었습니다. |
共生をテーマにした絵本を読みました。 | |
・ | 도시와 자연의 공생이 과제입니다. |
都市と自然の共生が課題となっています。 | |
・ | 공생을 고려한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共生を考慮したデザインが注目されています。 | |
・ |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공생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テクノロジーと人間の共生を模索しています。 | |
・ | 공생을 주제로 한 예술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
共生をテーマにしたアート作品が展示されています。 | |
・ | 인간과 로봇의 공생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
人間とロボットの共生が現実になりつつあります。 | |
・ | 공생을 중시한 교육 프로그램이 도입되었습니다. |
共生を重視した教育プログラムが導入されました。 | |
・ | 공생의 중요성을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
共生の重要性を教育で強調しています。 | |
・ | 공생의 이념을 가진 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共生の理念を持つ企業が注目されています。 | |
・ | 공생을 의식한 생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共生を意識した生活が求められています。 | |
・ | 자급자족을 통해 자연과 공생하고 있습니다. |
自給自足を通して自然と共生しています。 | |
・ | 군락지에는 많은 식물이 공생하고 있습니다. |
群落地には多くの植物が共生しています。 | |
・ | 사바나 동물들이 공생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サバンナの動物たちが共生している姿が印象的です。 | |
・ | 공생하기 위해서는 상대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共生するためには相手を尊重することが大切です。 | |
・ | 사람과 동물이 공생하기 위한 조례가 만들어졌습니다. |
人と動物が共生するための条例が作られました。 | |
・ | 자연과 공생하기 위해 친환경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自然と共生するためにエコ活動をしています。 | |
・ | 서로 다른 가치관과 공생하는 것이 풍요로움을 낳습니다. |
異なる価値観と共生することが豊かさを生みます。 | |
・ | 서로 다른 신앙이 공생하는 사회가 이상적입니다. |
異なる信仰が共生する社会が理想です。 | |
・ | 자연과의 공생을 주제로 한 영화를 봤어요. |
自然との共生をテーマにした映画を観ました。 | |
・ | 자연과 공생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습니다. |
自然と共生するための法律が制定されました。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공생하다(コンセンハダ) | 共生する |
본분(本分) > |
심리학(心理学) > |
쑥(よもぎ) > |
얼개(枠組み) > |
가지급(仮払金) > |
잔(杯) > |
대대적(大々的) > |
모란봉 악단(牡丹峰楽団) > |
곤혹(困惑) > |
스톱(ストップ) > |
온난전선(温暖前線) > |
대사(セリフ) > |
선실(船室) > |
최상품(最上品) > |
차용금(借入金) > |
순손익(純損益) > |
속단(速断) > |
환전(両替) > |
웬수(敵) > |
복직(復職) > |
시각표(時刻表) > |
입소문(口コミ) > |
대장간(鍛冶屋) > |
절세(節税) > |
동구밖(村外れ) > |
교부금(交付金) > |
건성(上の空) > |
벼 이삭(稲穂) > |
땅바닥(地面) > |
의사(擬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