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虚構」は韓国語で「허구」という。
|
![]() |
・ | 이 소설 속에 인물은 실제 인물이 아닌 허구입니다. |
この小説の中の人物は実際の人物とは違い虚構です。 | |
・ | 현실과 허구의 세계가 교착하다. |
現実と虚構の世界が交錯する。 | |
・ | 이것은 허구의 이야기, 픽션입니다. |
これは虚構の物語、フィクションです。 | |
・ | 사실과 허구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
事実と虚構を区別する必要がある。 | |
・ | 배우라는 직업은 허구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
俳優という職業は、虚構の世界で生きている人達である。 | |
・ | 그는 드라마를 너무 봐서 현실과 허구의 기억이 섞여 있는 듯하다. |
彼はドラマの見すぎで、現実と虚構の記憶が混じっているようだ。 | |
・ | 허구와 거짓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虚構と嘘の違いは何ですか? | |
・ | 허구의 세계에 몰입하면 현실을 잊을 수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世界に没頭すると、現実を忘れることができる。 | |
・ | 허구의 이야기는 때로 진실보다 더 강하게 기억된다. |
フィクションの物語が、時に真実よりも強く心に残る。 | |
・ | 허구의 이야기가 현실 세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物語が、現実の世界に影響を与えることがある。 | |
・ | 허구 속에서 과거의 사건들이 재해석되고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中で、過去の出来事が再解釈されている。 | |
・ | 허구 속에서 시간은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中で、時間は自由に操作できる。 | |
・ | 그녀는 허구의 이야기를 쓰는 것을 잘한다. |
彼女はフィクションの物語を書くのが得意だ。 | |
・ | 그는 허구헌 날 텔레비전만 보고 있다. |
彼は長い間いつもテレビを見ている。 | |
・ | 허구헌 날 스마트폰만 만지고 있네. |
長い間いつもスマホをいじっているね。 | |
・ | 그는 허구헌 날 지각한다. |
彼は長い間いつも遅刻してくる。 | |
・ | 그는 허구헌 날 게임만 하고 있다. |
彼は長い間いつもゲームばかりしている。 | |
・ | 아들은 허구한 날 놀고만 있다. |
息子は長い年月を遊んでばかりいる。 | |
・ | 이 대하소설은 역사적 사실과 허구가 융합된 작품이다. |
この大河小説は、歴史的な事実とフィクションが融合した作品だ。 | |
・ | 환청 때문에 그는 진실과 허구를 구별할 수 없게 되었어요. |
幻聴のせいで彼は真実と虚構を区別できなくなりまし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허구한 날(ホグハンナル) | 長い間いつも、毎日のように、いつも |
공영(公営) > |
비석(石碑) > |
아양(愛嬌) > |
편(便) > |
침술(鍼治療) > |
기대감(期待感) > |
높이뛰기(高跳び) > |
구인(求人) > |
통탄(痛嘆) > |
비자(ビザ) > |
부친(父親) > |
행렬(行列) > |
신경 세포(神経細胞) > |
이문화(異文化) > |
마름모(菱形) > |
위치(位置) > |
진정(真情) > |
초인종(チャイム) > |
서기관(書記官) > |
완전체(完全体) > |
숙박료(宿泊料) > |
저녁형 인간(夜型人間) > |
대지(敷地) > |
랜드마크(ランドマーク) > |
국유화(国有化) > |
축가(祝歌) > |
무지개(虹) > |
신간(新刊) > |
유혹(誘惑) > |
축제(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