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虚構」は韓国語で「허구」という。
|
![]() |
・ | 이 소설 속에 인물은 실제 인물이 아닌 허구입니다. |
この小説の中の人物は実際の人物とは違い虚構です。 | |
・ | 현실과 허구의 세계가 교착하다. |
現実と虚構の世界が交錯する。 | |
・ | 이것은 허구의 이야기, 픽션입니다. |
これは虚構の物語、フィクションです。 | |
・ | 사실과 허구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
事実と虚構を区別する必要がある。 | |
・ | 배우라는 직업은 허구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
俳優という職業は、虚構の世界で生きている人達である。 | |
・ | 그는 드라마를 너무 봐서 현실과 허구의 기억이 섞여 있는 듯하다. |
彼はドラマの見すぎで、現実と虚構の記憶が混じっているようだ。 | |
・ | 허구와 거짓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虚構と嘘の違いは何ですか? | |
・ | 허구의 세계에 몰입하면 현실을 잊을 수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世界に没頭すると、現実を忘れることができる。 | |
・ | 허구의 이야기는 때로 진실보다 더 강하게 기억된다. |
フィクションの物語が、時に真実よりも強く心に残る。 | |
・ | 허구의 이야기가 현실 세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物語が、現実の世界に影響を与えることがある。 | |
・ | 허구 속에서 과거의 사건들이 재해석되고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中で、過去の出来事が再解釈されている。 | |
・ | 허구 속에서 시간은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
フィクションの中で、時間は自由に操作できる。 | |
・ | 그녀는 허구의 이야기를 쓰는 것을 잘한다. |
彼女はフィクションの物語を書くのが得意だ。 | |
・ | 그는 허구헌 날 텔레비전만 보고 있다. |
彼は長い間いつもテレビを見ている。 | |
・ | 허구헌 날 스마트폰만 만지고 있네. |
長い間いつもスマホをいじっているね。 | |
・ | 그는 허구헌 날 지각한다. |
彼は長い間いつも遅刻してくる。 | |
・ | 그는 허구헌 날 게임만 하고 있다. |
彼は長い間いつもゲームばかりしている。 | |
・ | 아들은 허구한 날 놀고만 있다. |
息子は長い年月を遊んでばかりいる。 | |
・ | 이 대하소설은 역사적 사실과 허구가 융합된 작품이다. |
この大河小説は、歴史的な事実とフィクションが融合した作品だ。 | |
・ | 환청 때문에 그는 진실과 허구를 구별할 수 없게 되었어요. |
幻聴のせいで彼は真実と虚構を区別できなくなりまし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허구한 날(ホグハンナル) | 長い間いつも、毎日のように、いつも |
종합적(総合的) > |
물갈이(入れ替え) > |
실질(実質) > |
미움(憎しみ) > |
아로마(アロマ) > |
낙서(落書き) > |
견적(見積もり) > |
기본법(基本法) > |
탐독(耽読) > |
바늘 구멍(針の穴) > |
물질적(物質的) > |
저마다(ひとりひとり) > |
하숙(下宿) > |
징집(徴集) > |
줄거리(あらすじ) > |
가교 역할(架け橋の役割) > |
논란(論議) > |
실(糸) > |
정부(政府) > |
고효율(高効率) > |
신기루(蜃気楼) > |
치(値) > |
예습(予習) > |
응급실(ER) > |
구멍가게(小店) > |
저승(あの世) > |
머릿수(頭数) > |
PD(プロデューサー) > |
결핵(結核) > |
거리(通り)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