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立法権」は韓国語で「입법권」という。
|
![]() |
・ | 국가의 권력을 입법권·행정권·사법권의 세 가지로 나누는 것을 삼권분립이라고 합니다. |
国の権力を立法権・行政権・司法権の三つに分けることを三権分立といいます。 | |
・ | 의원 내각제의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입법권을 가진 정당이 행정권도 담당하고 있다. |
議院内閣制の日本ではほとんどの場合、立法権を持つ政党が行政権も担当している | |
・ | 일반적으로 입법권은 국회, 사법권은 법원, 행정권은 정부에 부여됩니다. |
一般に立法権は国会、司法権は裁判所、行政権は政府に付与される。 |
발의(発議) > |
규칙(規則) > |
적법 행위(適法行為) > |
국민참여재판제도(裁判員制度) > |
검찰청(警視庁) > |
임의동행(任意同行) > |
증거 인멸(証拠隠滅) > |
재판(裁判) > |
증거(証拠) > |
항소(控訴) > |
형사재판(刑事裁判) > |
소송(訴訟) > |
칙령(勅令) > |
정상을 참작하다(情状を酌量する) > |
위자료(慰謝料) > |
소송되다(訴訟される) > |
개정안(改訂案) > |
사법고시(司法試験) > |
화해 조서(和解調書) > |
규약문(規約文) > |
형량(量刑) > |
공증(公証) > |
국제법(国際法) > |
증거 불충분(証拠不十分) > |
대법관(最高裁判所裁判官) > |
촉법소년(触法少年) > |
사면(赦免) > |
송사(訴訟) > |
공정 증서(公正証書) > |
법(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