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戦」は韓国語で「대전」という。
|
![]() |
・ | 1914년에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
1914年に第1次世界大戦が勃発した。 | |
・ | 1939년에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
1939年に第二次世界大戦が勃発した。 | |
・ | 휴대전화가 없던 시절엔 무선 전화가 유행이었어요. |
携帯がなかった頃はコードレス電話が流行っていました。 | |
・ | 근대사는 세계 대전과 국제적인 정치 변화도 포함됩니다. |
近代史は世界大戦や国際的な政治変動も含まれています。 | |
・ |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견인포는 많은 전장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第二次世界大戦中、牽引砲は多くの戦場で使用されました。 | |
・ | 독일군이 폴란드 침공을 개시해,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
ドイツ軍がポーランド侵攻を開始し、第二次世界大戦が勃発した。 | |
・ | 조별 리그 결과에 따라 대전 상대가 결정됩니다. |
グループリーグの結果次第で、対戦相手が決まります。 | |
・ | 솔로몬 제도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장으로도 유명합니다. |
ソロモン諸島は第二次世界大戦の戦場としても知られています。 | |
・ | 발트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요한 전략적 장소였다. |
バルト海は第二次世界大戦中、重要な戦略的な場所だった。 | |
・ | 진주만 공격은 제2차 세계 대전의 계기가 되었다. |
真珠湾攻撃は第二次世界大戦のきっかけとなった。 | |
・ | 휴대전화의 진동이 울렸다. |
携帯電話のバイブレーションが鳴った。 | |
・ | 휴대전화는 진동으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携帯電話をマナーモードにしてくださいますようお願いします。 | |
훈장(勳章) > |
땅따먹기(領土獲得) > |
탄두(弾頭) > |
기지(基地) > |
계급장(階級章) > |
감청하다(傍受する) > |
지략(知略) > |
함락(陥落) > |
이등병(二等兵) > |
분쟁하다(紛争する) > |
군복(軍服) > |
대첩(大勝) > |
조총(鳥銃) > |
제압하다(制圧する) > |
아군(味方) > |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 |
징집(徴集) > |
짬밥(序列や経験を重ねること) > |
무공훈장(武功勳章) > |
의가사 제대(家庭の事情による除隊) > |
기갑사단(機甲師団) > |
창과 방패(矛と盾) > |
방공망(防空網) > |
의용군(義勇軍) > |
군사 분계선(軍事分界線) > |
전역(除隊) > |
총살하다(銃殺する) > |
테러범(テロ犯) > |
생화학 무기(生化学武器) > |
주포(主砲)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