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潮の満ち干き」は韓国語で「조수 간만」という。「조석(潮汐)」ともいう。
|
![]() |
・ | 조수 간만 왜 일어나는 걸까요? |
潮の満ち引きはなぜ起こるのでしょうか? | |
・ | 조수 간만이란 해수면이 12시간 또는 24시간 주기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
潮の満ち引きとは、海面が12時間または24時間の周期で上下に動くことです。 | |
・ | 달은 조수 간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月は潮汐に大きな影響を及ぼします。 | |
・ | 해수면이 천천히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현상을 조수 간만이라고 합니다. |
海面がゆっくり上昇したり下降したりする現象を潮の満ち引きといいます。 | |
・ | 조수 간만의 차는 태양과 달의 인력에 의해 일어난다. |
潮の干満差は、太陽と月の引力に応じて起こる。 | |
・ | 해수면의 수위가 변동하는 현상을 '조수 간만'이라고 합니다. |
海面の水位が変動する現象を「潮の満ち引き」といいます。 | |
・ | 조수 간만으로 해수면 수위가 가장 높아진 상태를 '만조'라고 합니다. |
潮の満ち引きで、海面の水位が最も上がった状態を「満潮」といいます。 |
개천가(川辺) > |
상고대(樹氷) > |
물줄기(水の流れ) > |
흙탕물(泥水) > |
산(山) > |
임야(林野) > |
담수호(淡水湖) > |
들(野原) > |
잔디밭(芝生) > |
사면(斜面) > |
사구(砂丘) > |
종유석(鍾乳石) > |
바닷속(海の中) > |
겨울바람(冬風) > |
산길(山道) > |
덤불(やぶ) > |
하늘(空) > |
폐수(廃水) > |
실개천(小川) > |
산속(山中) > |
돌풍(突風) > |
강둑(川岸) > |
응회암(凝灰岩) > |
해면(海面) > |
밤바다(夜の海) > |
달구경(お月見) > |
저녁노을(夕焼け) > |
대양(大洋) > |
용천수(湧き水) > |
갯벌(干潟(ひがた))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