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曽有」は韓国語で「미증유」という。「전대미문、前代未聞」をもっと使う。
|
![]() |
・ | 인류는 지구 난화 등의 환경 파괴라는 미증유의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
人類は地球温暖化などの環境破壊という未曾有の事態に直面している。 | |
・ | 미증유의 피해를 가져왔던 대참사로부터 10년이 지났다. |
未曾有の被害をもたらした大惨事から10年が経った。 | |
・ | 호우에 의한 미증유의 대재해를 입었다. |
豪雨による未曾有の大災害を受けた。 | |
・ | 경기 침체와 고유가에 의한 물가 상승으로 서민 생활이 미증유의 위기에 처해져 있다. |
景気の低迷と原油価格の高騰による物価高騰で、庶民生活が未曾有の危機にさらされている。 | |
・ | 일찍이 없었던 미증유의 경험 속에 혼돈과 질서가 혼재하고 있습니다. |
いまだかつてなかった未曾有の経験の中に混沌と秩序が混在しています。 | |
・ | 자본주의 체제는 미증유의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었다. |
資本主義体制は未曾有の物質的豊かさをもたらした。 | |
・ | 미증유의 위기에 빠지다. |
未曾有の危機に陥る。 | |
・ | 이번 해일에 의해 미증유의 피해가 발생했다. |
今回の津波により、未曽有の被害が発生した。 | |
・ | 미증유의 재난 속에서도 모두가 각고의 노력을 해 왔다. |
未曾有の災厄の中でもみんなが骨身を削る努力をしてきた。 |
팽이버섯(エノキタケ) > |
월간(月刊) > |
정도(程度) > |
민요(民謡) > |
남미(南米) > |
기술적(技術的) > |
퇴사(退職) > |
숯불(炭火) > |
가야금(カヤグム) > |
눈호강(目の保養) > |
직권(職権) > |
국(国) > |
혹사(酷使) > |
인천(仁川) > |
동요(動揺) > |
피지(皮脂) > |
자폐증(自閉症) > |
판(版) > |
정치인(政治家) > |
명망(人望) > |
한평생(一生) > |
법조계(法曹界) > |
후기(後記) > |
개강(開講) > |
정의감(正義感) > |
일조권(日照権) > |
점착테이프(粘着テープ) > |
연락처(連絡先) > |
일일생활권(一日生活圏) > |
무국적(無国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