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情状を酌量する」は韓国語で「정상을 참작하다」という。정상 참작(情状酌量)
|
![]() |
・ | 형법에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정상을 참작해 판결을 내리는 경우도 있다. |
刑法の定める範囲内で情状を酌量し判決を下すことである。 | |
・ | 판사가 피고의 정상을 참작하여 형량을 정하다. |
裁判官が被告の情状を酌量して量刑を決める。 | |
・ | 정상 참작이란 피고인에 대해 형벌을 가볍게 하는 것입니다. |
情状酌量とは、被告人に対する刑罰を軽くすることです。 | |
・ | 정상을 참작할 여지가 있다. |
情状酌量する余地がある | |
・ | 단적으로 말해서 정상 참작의 의미는 죄를 가볍게 해 보는 것입니다. |
端的に言えば情状酌量の意味は、罪を軽くみてやることです。 |
간통죄(姦通罪) > |
증거(証拠) > |
재판에 부치다(裁判にかける) > |
업무방해죄(業務妨害罪) > |
공탁하다(供託する) > |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特定経済犯罪.. > |
압류(差押え) > |
선처(善処) > |
위법 행위(違法行為) > |
죗값(罪の償い) > |
조정자(調停者) > |
부담부 증여(負担付贈与) > |
복권하다(復権する) > |
판사(判事) > |
물증(物証) > |
재판부(裁判部) > |
기일(期日) > |
공탁금(供託金) > |
공소 시효(公訴時効) > |
공증(公証) > |
보석금(保釈金) > |
기소하다(起訴する) > |
재판에 회부되다(裁判に回付される) > |
옥살이(監獄暮らし) > |
증거 인멸(証拠隠滅) > |
치외 법권(治外法権) > |
기본법(基本法) > |
피상속인(被相続人) > |
법률을 정하다(法律を定める) > |
송사(訴訟)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