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酌量減軽」は韓国語で「정상 참작」という。
|
![]() |
・ | 피고인에게는 정상 참작의 여지가 없다. |
被告人には、情状酌量の余地はない。 | |
・ | 정상 참작은 판사의 재량에 의해 형을 경감하는 것입니다. |
情状酌量は、裁判官の裁量により刑を減軽することです。 | |
・ | 형법에는 정상 참작이나 감형에 관해 판사의 자유 재량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
刑法は、情状酌量や減刑に関して裁判官の自由裁量を認めております。 | |
・ | 단적으로 말해서 정상 참작의 의미는 죄를 가볍게 해 보는 것입니다. |
端的に言えば情状酌量の意味は、罪を軽くみてやることです。 | |
・ | 정상 참작이란 피고인에 대해 형벌을 가볍게 하는 것입니다. |
情状酌量とは、被告人に対する刑罰を軽くすることです。 |
감옥(監獄) > |
상해치사(傷害致死) > |
무기 징역(無期懲役) > |
자수(自首) > |
법제화(法制化) > |
항소(控訴) > |
금치산자(禁治産者) > |
소장(訴状) > |
공갈죄(恐喝罪) > |
고소당하다(告訴される) > |
맞고소(反訴) > |
촉법소년(触法少年) > |
형기(刑期) > |
살인죄(殺人罪) > |
훈방하다(訓戒して放免する) > |
원고(原告) > |
피고인(被告人) > |
확증(確証) > |
변호사(弁護士) > |
대역죄(大逆罪) > |
사실혼(事実婚) > |
벌금(罰金) > |
무죄 선고(無罪宣告) > |
감형되다(減刑される) > |
시행령(施行令) > |
증언하다(証言する) > |
변호사를 선임하다(弁護士を選任する.. > |
종신형(終身刑) > |
소환장(召喚状) > |
법을 준수하다(法律を守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