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酌量減軽」は韓国語で「정상 참작」という。
|
![]() |
・ | 피고인에게는 정상 참작의 여지가 없다. |
被告人には、情状酌量の余地はない。 | |
・ | 정상 참작은 판사의 재량에 의해 형을 경감하는 것입니다. |
情状酌量は、裁判官の裁量により刑を減軽することです。 | |
・ | 형법에는 정상 참작이나 감형에 관해 판사의 자유 재량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
刑法は、情状酌量や減刑に関して裁判官の自由裁量を認めております。 | |
・ | 단적으로 말해서 정상 참작의 의미는 죄를 가볍게 해 보는 것입니다. |
端的に言えば情状酌量の意味は、罪を軽くみてやることです。 | |
・ | 정상 참작이란 피고인에 대해 형벌을 가볍게 하는 것입니다. |
情状酌量とは、被告人に対する刑罰を軽くすることです。 |
형 집행 정지(刑執行停止) > |
사형제도(死刑制度) > |
법적 구속력(法的拘束力) > |
중벌(重罰) > |
최고형(最高刑) > |
시효(時効) > |
죄(罪) > |
정상을 참작하다(情状を酌量する) > |
개헌되다(改憲される) > |
업무상 과실(業務上過失) > |
중앙지검 특수부(中央地検 特捜部) > |
유무죄(有罪と無罪) > |
금지법(禁止法) > |
징역에 처하다(懲役に処する) > |
재판에 이기다(裁判に勝つ) > |
공증(公証) > |
관습법(慣習法) > |
법정(法廷) > |
공술하다(供述する) > |
죄목(罪目) > |
변호사를 선임하다(弁護士を選任する.. > |
사형장(刑場) > |
기각되다(棄却される) > |
횡령(横領) > |
지방 법원(地方裁判所) > |
중죄(重罪) > |
법전(法典) > |
형사 소송(刑事訴訟) > |
배상금(賠償金) > |
변호인(弁護人)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