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猶豫期間」は韓国語で「유예 기간」という。
|
![]() |
・ | 집행유예 기간 중에는 사회봉사활동을 하기도 한다. |
執行猶予期間中は社会奉仕活動をすることもある。 | |
・ | 집행유예 기간 중에는 범죄를 저질러서는 안 된다. |
執行猶予期間中は犯罪を犯してはいけない。 | |
・ | 혼란을 막기 위해 3개월간의 유예 기간을 두었다. |
混乱を避けるために3ヵ月の猶予期間を設けた。 |
절도죄(窃盗罪) > |
상고심(上告審) > |
현행법(現行法) > |
극형(極刑) > |
고소당하다(告訴される) > |
기각(棄却) > |
공탁하다(供託する) > |
판결이 내리다(判決が下る) > |
묵비권을 행사하다(黙秘権を行使する.. > |
입헌 정치(立憲政治) > |
대역죄(大逆罪) > |
적법하다(適法だ) > |
주거침입(住居侵入) > |
집행(執行) > |
재판소(裁判所) > |
실정법(実定法) > |
법규(法規) > |
기소하다(起訴する) > |
감형(減刑) > |
직권 남용(職権濫用) > |
가압류(仮差押) > |
뇌물 수수(贈収賄) > |
재판부(裁判部) > |
피의 사실 공표(被疑事実公表) > |
소급하다(遡及する) > |
과실(過失) > |
징역(懲役) > |
영장(令状) > |
묵비권(黙秘権) > |
훈방하다(訓戒して放免す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