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成文法」は韓国語で「성문법」という。
|
![]() |
・ | 성문법의 반의어는 성문법입니다. |
不文律の対義語は成文法になります。 | |
・ | 많은 나라들은 기본적으로 성문법주의로 명기되어 있는 법을 중시합니다. |
多くの国々は基本的には成分法主義で明記されている法を重視します。 | |
・ | 성문법이란 문서의 형태로 제정된 법을 말한다. |
成文法とは、文書の形で制定された法をいう。 | |
・ | 성문법의 대표격은 법률입니다. |
成文法の代表格は法律です。 | |
・ | 성문법은 문장화된 법으로 헌법,조약,법률,명령,조례 등이 있습니다. |
成文法は文章化された法で、憲法、条約、法律、命令、条例などがあります。 |
변호료(弁護料) > |
벌을 받다(罰せられる) > |
법관(裁判官) > |
국제사법재판소(国際司法裁判所) > |
간이 법원(簡易裁判所) > |
내용증명서(内容証明書) > |
죗값(罪の償い) > |
소장(訴状) > |
소송을 일으키다(訴訟を起こす) > |
손해 배상을 청구하다(損害賠償を請.. > |
국민참여재판제도(裁判員制度) > |
해약(解約) > |
소급하다(遡及する) > |
규정(規定) > |
흉악범(凶悪犯) > |
시행령(施行令) > |
로펌(ローファーム) > |
압류(差押え) > |
손해 배상 소송(損害賠償訴訟) > |
가정법원(家庭裁判所) > |
법제화(法制化) > |
헌정(憲政) > |
공탁(供託) > |
복권되다(復権される) > |
무기 징역(無期懲役) > |
성문법(成文法) > |
일사부재리(一事不再理) > |
교수형(絞首刑) > |
선고(宣告) > |
상황 증거(状況証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