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課税」は韓国語で「과세」という。
|
![]() |
・ | 과세 신고 기한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課税の申告期限が近づいております。 | |
・ | 과세대상 금액을 정확하게 산출했습니다. |
課税対象額を正確に算出いたしました。 | |
・ | 과세 기준이 변경되었으니 주의해 주세요. |
課税基準が変更されましたのでご注意ください。 | |
・ |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課税対象外となる場合もございます。 | |
・ | 과세 절차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했습니다. |
課税手続きに必要な書類を準備いたしました。 | |
・ | 과세 관련 자료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課税に関する資料をお送りいたします。 | |
・ | 과세 대상이 되는 자산에 대해 확인했습니다. |
課税対象となる資産について確認いたしました。 | |
・ | 과세 금액에 대한 불안이 있으시면 상담해 주세요. |
課税額に関する不安がございましたら、ご相談ください。 | |
・ | 비과세 한도를 활용하면 절세할 수 있습니다. |
非課税枠を活用すると節税できます。 | |
・ | 비과세 대상 기부금이 있습니까? |
非課税対象の寄付金がありますか? | |
・ | 해외에서 반입하는 물품에는 비과세 한도가 있습니다. |
海外からの持ち込み品には非課税の上限があります。 | |
・ | 비과세 범위를 초과하면 세금이 부과됩니다. |
非課税の範囲を超えると、税金が発生します。 | |
・ |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소득이 비과세됩니다. |
一定の条件を満たせば、所得が非課税になります。 | |
・ | 이 상품은 비과세 대상입니다. |
この商品は非課税対象です。 | |
・ | 자동차가 2대 이상일 경우 취득세가 중과세됩니다. |
自動車が2台以上ある場合、取得税が重課税されます。 | |
・ | 소득공제나 비과세 제도를 활용해 세 부담을 경감한다. |
所得控除や非課税制度を活用して税負担を軽減する。 | |
・ | 고소득자에 대한 과세율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
高所得者への課税率が議論の的になっています。 | |
・ | 대기업의 교제비를 일부 비과세로 변경했다. |
大企業の交際費 一部非課税に変更した。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비과세(ピグァセ) | 非課税 |
원천과세(ウォンチョンウァセ) | 源泉課税 |
과세하다(クァセハダ) | 課税する |
과세되다(クァセデダ) | 課税される |
누진 과세(ヌジン クァセ) | 累進課税 |
수요와 공급(需要と供給) > |
추경 예산(追更予算) > |
실물 경제(実体経済) > |
전자 거래(電子取引) > |
발전(発展) > |
희소가치(希少価値) > |
시장규모(市場規模) > |
가계 수지(家計収支) > |
지하 경제(地下経済) > |
추경안(補正予算案) > |
노동 시장(労働市場) > |
불황(不況) > |
지방세(地方税) > |
국영(国営) > |
성장세(成長の勢い) > |
국민 총생산(国民総生産) > |
기저 효과(基底效果) > |
세계화(グローバル化) > |
돈을 풀다(量的緩和する) > |
규제 완화(規制緩和) > |
디플레이션(デフレーション) > |
공공투자(公共投資) > |
가계 부채(家計負債) > |
치킨게임(チキンレース) > |
노동력 부족(労働力不足) > |
보합세(持ち合い相場) > |
생산 가능 인구(生産可能人口) > |
부실 기업(不良企業) > |
실업률(失業率) > |
설비 투자(設備投資)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