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遭難信号」は韓国語で「조난 신호」という。
|
![]() |
・ | 연안 경비대는 호화 요트로부터의 조난 신호에 대응하여, 타고 있던 승객 전원을 구조했습니다. |
沿岸警備隊は豪華ヨットからの遭難信号に対応して、乗っていた乗客を全て救助しました。 | |
・ | 선장은 무선통신사에게 조난 신호를 치도록 명령했다. |
船長は無線通信士に遭難信号を打つように命令した。 | |
・ | 조난 신호를 발신할 틈도 없는 갑작스런 사고였다. |
遭難信号を発信する暇もない突然の出来事だった。 | |
・ | 조난 신호는 "도와줘"라는 의미의 프랑스어가 어원입니다. |
メーデーは「助けて」という意味のフランス語が語源です。 | |
・ | 메이데이는 무선전화로 조난 신호를 발신할 때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긴급용 부호입니다. |
メーデーとは、無線電話で遭難信号を発信する時に国際的に使われる緊急用符号です。 | |
・ | 1908년 SOS가 국제적인 조난 신호로 채택되었다. |
1908年、SOSが国際的な遭難信号として採択された。 |
의연금(義捐金) > |
피난하다(避難する) > |
직하형 지진(直下型地震) > |
소방서(消防署) > |
토사 붕괴(土砂崩れ) > |
신원 확인(身元確認) > |
전소되다(全焼される) > |
땅울림(地鳴り) > |
불길(火の手) > |
위문하다(見舞う) > |
구명 보트(救命ボート) > |
긴급 연락처(緊急連絡先) > |
활단층(活断層) > |
기근(飢饉) > |
구명정(救命艇) > |
공수(空輸) > |
재해 예방(災害予防) > |
물바다(水浸し) > |
범람(氾濫) > |
진원(震源) > |
비상벨(非常ベル) > |
인공 지진(人工地震) > |
홍수(洪水) > |
화재 신고(火災の通報) > |
대피령(避難命令) > |
화재 보험(火災保険) > |
모금(募金) > |
도로 단절(道路分断) > |
낙석(落石) > |
소방 당국(消防当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