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効」は韓国語で「시효」という。
|
![]() |
・ | 그는 공소 시효가 만료되어 구속할 수 없다. |
彼は控訴時効が満了して、拘束することができない。 | |
・ | 유산 상속 권리에는 시효가 있다. |
遺産相続の権利には時効がある。 | |
・ | 권리는 언제까지나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 시효가 정해져 있습니다. |
権利はいつまでも認められるわけではなく、時効が定められています。 | |
・ | 법률상, 부채에도 시효가 있습니다. |
法律上、借金にも時効はあります。 | |
・ | 시효는 몇 년 안에 소멸하나요? |
時効は何年で消滅しますか? | |
・ | 빚이나 이자는 몇 년 안에 시효에 의해 소멸됩니까? |
借金や利息は、何年で時効によって消滅しますか? | |
・ | 공소 시효란, 범죄가 끝난 때부터 일정 기간이 지나면 공소가 제기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
公訴時効とは、犯罪が終わった時から一定期間を過ぎると公訴が提起できなくなることをいう。 | |
・ | 공소 시효 끝날 때까지 조용히 숨어 있으려 한다. |
公訴時効が終わる日まで静かに隠れていようとしている | |
・ | 살인 등 흉악 범죄의 공소 시효를 폐지했다. |
殺人など凶悪犯罪の公訴時効の廃止した。 | |
・ | 공소 시효가 다가오다. |
公訴時効が近づく。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공소 시효(コンソシヒョ) | 公訴時効、時効 |
법원(裁判所) > |
규칙을 준수하다(規則を順守する) > |
취하하다(取り下げる) > |
사면(赦免) > |
심증(心証) > |
법에 입각하다(法に基づく) > |
이면 합의(裏合意) > |
배심원(陪審員) > |
가중 처벌(加重処罰) > |
공소 시효(公訴時効) > |
준법(順法) > |
증언하다(証言する) > |
재판장(裁判長) > |
소장(訴状) > |
근로계약서(雇用契約書) > |
업무상 과실(業務上過失) > |
죄(罪) > |
판결(判決) > |
공탁하다(供託する) > |
벌금을 물다(罰金を取られる) > |
규칙(規則) > |
적법하다(適法だ) > |
관습법(慣習法) > |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特定経済犯罪.. > |
소명하다(釈明する) > |
처단하다(処断する) > |
유언장(遺言状) > |
상소하다(上訴する) > |
반성문(反省文) > |
가택 수색(家宅捜索)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