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効」は韓国語で「시효」という。
|
![]() |
・ | 그는 공소 시효가 만료되어 구속할 수 없다. |
彼は控訴時効が満了して、拘束することができない。 | |
・ | 유산 상속 권리에는 시효가 있다. |
遺産相続の権利には時効がある。 | |
・ | 권리는 언제까지나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 시효가 정해져 있습니다. |
権利はいつまでも認められるわけではなく、時効が定められています。 | |
・ | 법률상, 부채에도 시효가 있습니다. |
法律上、借金にも時効はあります。 | |
・ | 시효는 몇 년 안에 소멸하나요? |
時効は何年で消滅しますか? | |
・ | 빚이나 이자는 몇 년 안에 시효에 의해 소멸됩니까? |
借金や利息は、何年で時効によって消滅しますか? | |
・ | 공소 시효란, 범죄가 끝난 때부터 일정 기간이 지나면 공소가 제기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
公訴時効とは、犯罪が終わった時から一定期間を過ぎると公訴が提起できなくなることをいう。 | |
・ | 공소 시효 끝날 때까지 조용히 숨어 있으려 한다. |
公訴時効が終わる日まで静かに隠れていようとしている | |
・ | 살인 등 흉악 범죄의 공소 시효를 폐지했다. |
殺人など凶悪犯罪の公訴時効の廃止した。 | |
・ | 공소 시효가 다가오다. |
公訴時効が近づく。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공소 시효(コンソシヒョ) | 公訴時効、時効 |
위임장(委任状) > |
송사하다(訴訟を起こす) > |
사법 기관(司法機関) > |
합의(合意) > |
사회통념상(社会通念上) > |
과실치사(過失致死) > |
선처하다(善処する) > |
초상권(肖像権) > |
묵비권(黙秘権) > |
영장 실질심사(令状実質審査) > |
송사(訴訟) > |
헌재(憲法裁) > |
법조계(法曹界) > |
공탁금(供託金) > |
증인 심문(証人尋問) > |
법률고문(法律顧問) > |
불법 복제(違法コピー) > |
공술하다(供述する) > |
피고인(被告人) > |
피의 사실 공표(被疑事実公表) > |
취조(取り調べ) > |
부담부 증여(負担付贈与) > |
헌법상의 권리(憲法上の権利) > |
구형(求刑) > |
소송을 취하하다(訴訟を取り下げる) > |
지방 법원(地方裁判所) > |
중벌(重罰) > |
승소(勝訴) > |
상속인(相続人) > |
변호(弁護)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