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夫多妻制」は韓国語で「일부다처제」という。
|
![]() |
【話せる韓国語】家族構成に関するフレーズ37選!
・ | 일부다처제 하에서 여러 명의 아내를 갖는 것이 허용됩니다. |
一夫多妻制のもとで、複数の妻を持つことが許されています。 | |
・ | 일부다처제는 특정 문화에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一夫多妻制は、特定の文化において受け入れられています。 | |
・ | 일부다처제가 실시되고 있는 나라도 있습니다. |
一夫多妻制が実施されている国もあります。 | |
・ | 일부다처제 하에서는 남편의 책임이 중요합니다. |
一夫多妻制のもとでは、夫の責任が重要です。 | |
・ | 일부다처제를 이해하려면 문화적 배경이 중요합니다. |
一夫多妻制を理解するには、文化的な背景が重要です。 | |
・ | 일부다처제는 가족 형태 중 하나입니다. |
一夫多妻制は、家族の形態の一つです。 | |
・ | 일부다처제에서 남편은 공평해야 합니다. |
一夫多妻制において、夫は公平であることが求められます。 | |
・ | 일부다처제는 특정 종교에서 권장되고 있습니다. |
一夫多妻制は、特定の宗教で推奨されています。 | |
・ | 일부다처제를 이해하기 위해 문화적시각이 필요합니다. |
一夫多妻制を理解するために、文化的な視点が必要です。 | |
・ | 일부다처제가 존중받는 문화도 존재합니다. |
一夫多妻制が尊重される文化も存在します。 | |
・ | 일부다처제 하에서 부부간의 신뢰가 중요합니다. |
一夫多妻制のもとで、夫婦間の信頼が重要です。 |
숙모(おば) > |
애기 아빠(子供のお父さん) > |
시집 식구(嫁ぎ先の家族) > |
호주(戶主) > |
동서지간(義理の兄弟) > |
도련님(おぼっちゃま) > |
외가(母方の実家) > |
장인(妻の父) > |
장모(妻の母) > |
부부(夫婦) > |
태생(生まれ) > |
처남(妻の男兄弟) > |
수양아들(里子) > |
큰며느리(長男の嫁) > |
입양아(養子) > |
양어머니(養母) > |
친정어머니(妻の実家の母親) > |
증조할머니(曾祖母) > |
친아빠(実父) > |
부모와 자식(親子) > |
아주버니(夫の兄) > |
가족(家族) > |
고명딸(息子の多い家の一人娘) > |
집안(家柄) > |
가정(家庭) > |
사부인(親同士の呼び方) > |
막냇동생(末っ子である弟や妹) > |
친오빠(実の兄) > |
며느리와 시어머니(嫁と姑) > |
사돈(結婚した両家の親同士)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