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輸入」は韓国語で「수입」という。
|
![]() |
・ | 바나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バナナはほとんど輸入に依存しています。 | |
・ | 망고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マンゴはほとんど輸入に依存しています。 | |
・ | 상반기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늘어났다. |
上半期の輸入は、昨年同期より25%増えた。 | |
・ | 기본적으로는 해외로부터 상품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것은 자유입니다. |
基本的には、海外から商品を輸入して販売することは自由です。 | |
・ | 수입이 계속 줄어들면서 가세가 기울어갔다. |
収入が減り続けて家運が傾いてきた。 | |
・ | 그는 팀에서 주를 이루는 선수입니다. |
彼はチームの主となる選手です。 | |
・ | 그 선수는 둘째 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대단한 축구 선수입니다. |
あの選手は 最も優れているサッカー選手です。 | |
・ | 경험도 실력도 없으면서 고수입을 기대하는 것은 우물에서 숭늉 찾는 것과 다름없다. |
経験も実力もないのに高収入を期待するのは、井戸で焦がし米のお湯を探すようなものだ。 | |
・ | 유튜버 수입은 광고에서 얻습니다. |
ユーチューバーとしての収入は広告から得ています。 | |
・ | 유튜버는 유튜브의 동영상 재생으로 얻을 수 있는 광고 수익을 주요한 수입원으로 생활하는 사람입니다. |
You tuberは、YouTubeの動画再生で得られる広告収入を主な収入源として生活する人です。 | |
・ | 배당금은 주주에게 중요한 수입원이 된다. |
配当金は株主にとって重要な収入源である。 | |
・ | 수입이 줄어서 허리띠를 조이며 생활할 수밖에 없다. |
収入が減ったので、ベルトを締めて生活するしかない。 | |
・ | 일용직 노동자로 일하면서 조금씩 수입을 얻고 있다. |
日雇い労働者として働くことで、少しずつ収入を得ている。 | |
・ | 신용 대출 이용자는 보통 안정적인 수입이 요구됩니다. |
信用貸付の利用者は、通常、安定した収入が求められます。 | |
소득(所得) > |
환테크(為替による財テク) > |
국영(国営) > |
방만(放漫) > |
소비(消費) > |
무역 자유화(貿易自由化) > |
신협(信用協同組合) > |
통상하다(通商する) > |
경기 둔화(景気鈍化) > |
개성공단(開城工団) > |
예산이 초과되다(予算を超える) > |
호조(好調) > |
공급(供給) > |
고성장(高成長) > |
투자 거품(投資バブル) > |
상승세(上昇ムード) > |
버블 경제(バブル経済) > |
빈부차(貧富の格差) > |
수입 제한(輸入制限) > |
일자리를 창출하다(雇用を創出する)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
경제제재(経済制裁) > |
거래하다(取引する) > |
거품경제(バブル経済) > |
개인 소비(個人消費) > |
무역 흑자(貿易黒字) > |
경매(競り) > |
연말정산(年末調整) > |
호경기(好景気) > |
직접 투자(直接投資)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