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念」は韓国語で「이념」という。
|
![]() |
・ | 이념에 집착하지 않고, 실용적으로 개혁을 추진했다. |
理念にこだわらず、実用的に改革を推進した。 | |
・ | 왕은 불교 이념에 따라 육식을 금지하는 칙령을 내렸다. |
王は仏教の理念に基づいて、肉食を禁じする勅令を出した。 | |
・ | 선언문은 이념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
宣言文は、理念を示す大切な文書です。 | |
・ | 이사장이 제창하는 이념이 직원들에게 감명을 주고 있어요. |
理事長が提唱する理念が、社員に感銘を与えています。 | |
・ | 경영자가 가진 이념이 회사 브랜드에 반영됩니다. |
経営者が持つ理念が、会社のブランドに反映されます。 | |
・ | 성별을 이유로 상대를 얕보는 것은 평등의 이념에 어긋납니다. |
性別を理由に相手を見下すのは、平等の理念に反します。 | |
・ | 상생의 이념을 가진 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共生の理念を持つ企業が注目されています。 | |
・ | 공생의 이념을 가진 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共生の理念を持つ企業が注目されています。 | |
・ | 설립자의 이념이 기업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
設立者の理念が、企業の文化に深く根付いている。 | |
・ | 이념보다 국익을 앞세우는 실리 외교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
理念より国益を優先する実利外交を基本としている。 | |
・ | 인도주의 이념은 사람들의 고통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人道主義の理念は、人々の苦しみを軽減することを目指しま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경영 이념(キョンヨン イニョム) | 経営理念 |
일대일로(一帯一路) > |
면죄부(免罪符) > |
반역(反逆) > |
개표(開票) > |
선거 관리 위원회(選挙管理委員会) > |
선동(扇動) > |
찬성(賛成) > |
이산가족(離散家族) > |
보수(保守) > |
무정부 상태(無政府状態) > |
대망론(待望論) > |
국민의례(国民儀礼) > |
선거일(選挙日) > |
선거 공약(選挙公約) > |
강국(大国) > |
타도(打倒) > |
상임 위원회(常任委員会) > |
투표를 마치다(投票を終える) > |
당정청(与党・政府・青瓦台) > |
보수적(保守的) > |
공화국(共和国) > |
특사(特使) > |
정당(政党) > |
시위하다(デモをする) > |
여당(与党) > |
입헌군주국(立憲君主国) > |
선심성(ばらまき) > |
총동원(総動員) > |
당비(党費) > |
항쟁(抗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