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発端」は韓国語で「발단」という。
|
![]() |
・ | 사건의 발단 |
事件の発端 | |
・ | 소동의 발단은 그의 부주의한 발언에서였다. |
騒ぎの発端は彼の不注意な発言からだった。 | |
・ | 사건의 발단은 불량배끼리의 싸움이었어요. |
事件の発端はチンピラ同士の喧嘩でした。 | |
・ | 사건의 발단은 그 남자의 말이었다. |
事件のの発端はあの男の言葉だった。 | |
・ | 사건의 발단은 일주일 전에 걸려온 한 통의 전화였습니다. |
事件の発端は、1週間前にかかってきた1本の電話でした。 | |
・ | 독일군의 폴란드 침공이 대전의 발단이 되었다. |
ドイツ軍のポーランド侵攻が大戦の発端となった。 | |
・ | 역탐지 결과 문제의 발단이 밝혀졌어요. |
逆探知の結果、問題の発端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 |
・ | 알레르기에서 발단한 민감성 피부의 경우는 의사에게 가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アレルギーに端を発する敏感肌の場合は、医者に行くことが肝心だと思います。 | |
・ | 협박장이 사건의 발단이 되었다. |
脅迫状が事件の発端となった。 | |
・ | 아무렇지 않은 장난이 싸움의 발단이었다. |
無造作ないたずらが喧嘩の発端だった。 | |
・ | 진술의 사소한 차이가 사건 해결의 발단이 됐다. |
供述の些細な食い違いが、事件解決の端緒となった。 | |
・ | 이 전쟁은 영토 문제에서 발단했다. |
この戦争は領土問題に端を発した。 | |
・ | 그 사건은 사소한 일에서 발단했다. |
その事件は些細なことに端を発した。 | |
・ | 그 싸움은 원래 단순한 오해로부터 발단했다. |
その争いはもともと単純な誤解に端を発していた。 | |
・ | 그의 불행은 그 유년시절에 발단했다. |
彼の不幸はその幼年時代に端を発した。 | |
・ | 오해는 종종 표현의 부정확성에서 발단한다. |
誤解はしばしば表現の不正確さに端を発する。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발단하다(パルッタンハダ) | 端を発する、起こる |
할로겐(ハロゲン) > |
쌀알(米粒) > |
확인(確認) > |
군만두(焼き餃子) > |
의료 미스(医療ミス) > |
지상주의(至上主義) > |
복무 기강(服務規律) > |
서쪽(西側) > |
향토 음식(郷土料理) > |
편집증(パラノイア) > |
이데올로기(イデオロギー) > |
할증(割り増し) > |
굴지(屈指) > |
이방인(異邦人) > |
복(福) > |
무궁무진(限りなく多い) > |
동서남북(東西南北) > |
과밀(過密) > |
수여식(授与式) > |
이단(異端) > |
전력거래소(電力取引所) > |
회원국(会員国) > |
자결(自決) > |
공무상(公務上) > |
혹자(ある人) > |
부엉이(ミミズク) > |
판례(判例) > |
알래스카(アラスカ) > |
잿더미(灰の山) > |
경험치(経験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