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慣習」は韓国語で「관습」という。
|
![]() |
・ | 관습은 사회적 행동 양식을 의미한다. |
慣習は社会的な行動様式を意味する。 | |
・ | 관습이나 상식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이나 본질적인 것에 언제나 매진하고 있다. |
慣習や常識にとらわれず、新しいことや本質的なことに常に取り組んでいる。 | |
・ | 고대 왕국에서는 백성들이 왕에게 조공하는 관습이 있었다. |
古代の王国では、民衆が王に貢ぎ物を捧げる習慣があった。 | |
・ | 관습법은 때때로 문서로 확인되지 않고 실행되기도 한다. |
慣習法は時には書面で確認されることなく実行される。 | |
・ | 법원은 관습법에 따라 판결을 내릴 때가 있다. |
裁判所は慣習法に基づいて判決を下すことがある。 | |
・ | 관습법은 시대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
慣習法は時代とともに変化することもある。 | |
・ | 관습법의 영향을 받은 법은 많은 나라에 존재한다. |
慣習法の影響を受けた法律が多くの国で存在する。 | |
・ | 비즈니스 거래에서 관습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ビジネスの取引において、慣習法が重要な役割を果たすことがある。 | |
・ | 관습법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다. |
慣習法が地域ごとに異なる場合もある。 | |
・ | 이 계약은 관습법에 따라 체결된 것이다. |
この契約は、慣習法に基づいて締結されたものだ。 | |
・ | 관습법은 법적인 효력을 가질 수 있다. |
慣習法は、法的効力を持つことがある。 | |
・ | 집을 장남에게 대물리는 것이 옛날의 관습이었다. |
家を長男に継がせるのが昔の習慣だった。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관습법(クァンスプポプ) | 慣習法 |
관습적(クァンスプチョク) | 慣習的 |
오랜 관습(オレンクァンスプ) | 古い慣習、古くからのならわし |
관습(慣習) > |
리필(お代わり) > |
문화생활(文化生活) > |
자치기(短い木の遊び) > |
한지 공예(韓紙工芸) > |
아리랑(アリラン) > |
삼육구(369) > |
풍물(風物) > |
부채춤(扇舞) > |
전승하다(伝承する) > |
계(頼母子講) > |
다문화 가정(国際結婚の家庭) > |
사물놀이(サムルノリ) > |
중요 문화재(重要文化財) > |
무형문화유산(無形文化遺産) > |
풍속(風俗) > |
남녀칠세부동석(男女の別をはっきりし.. > |
산타클로스(サンタ) > |
낑깡족(キンカン族) > |
문화재(文化財) > |
문화권(文化圏) > |
히피족(ヒッピー族) > |
판소리(パンソリ) > |
복주머니(福巾着) > |
제사상(法事のお膳) > |
포경(捕鯨) > |
술자리 놀이(飲み会ゲーム) > |
대세(大きな勢い) > |
농악(農楽) > |
토장(土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