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먹을거리가 많은 명절 때는 과식하기 쉽다. |
食べ物が多い節句には食べ過ぎになりやすい。 | |
・ | 한국에서 가장 큰 명절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韓国最大の祝日について説明してください。 | |
・ | 이번 명절에는 기름지고 손 많이 가는 전은 안 부치려고요. |
今度の名節には、油っこくて手がかなりかかるチヂミは作らないと思います。 | |
・ | 졸혼 후에도 명절에는 함께 모이는 가족들이 있다. |
卒婚後もお正月には一緒に集まる家族がいる。 | |
・ | 오라버니, 이번 명절에 꼭 뵙고 싶습니다. |
お兄様、このお正月にぜひお会いしたいです。 | |
・ | 음력 명절에는 지역 전통 행사가 있어요. |
旧暦の祝日には、地域の伝統行事があります。 | |
・ | 한국의 명절 추석은 음력으로 8월 15일이기 때문에 매해 양력 날짜가 바뀝니다. |
韓国の名節である秋夕は、旧暦なので、毎年新暦の日付が変わります。 | |
・ | 한국에서는 지금도 설, 추석 등 주요 명절은 음력으로 축하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
韓国では今でもソルラル、秋夕などの主要な名節は陰暦で祝う風習があります。 | |
・ | 결혼 후 첫 명절이라 그런지, 새언니가 한복을 입고 집에 왔다. |
結婚したあと、最初の名節だからか、兄嫁が韓服を着て家に来た。 | |
・ | 시누이는 가족 행사나 명절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줍니다. |
義姉は家族のイベントや祝祭日に積極的に参加してくれます。 | |
・ | 한국의 최대명절은 설과 추석입니다. |
韓国の最も大きな伝統祭日はお正月(ソル)と秋夕(チュソク)です。 | |
・ | 고종사촌은 명절이 아니면 좀처럼 만나기 힘들다. |
いとこは名節でなければ、なかなか会うのが難しい。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명절 증후군(ミョンジョルチュンフグン) | 名節症候群 |
술자리 놀이(飲み会ゲーム) > |
명절(伝統祭日) > |
전통 공예품(伝統工芸品) > |
포경(捕鯨) > |
위계 문화(位階文化) > |
대세(大きな勢い) > |
중요 문화재(重要文化財) > |
BMW족(BMW族) > |
복주머니(福巾着) > |
오곡밥(五穀飯) > |
홍길동(『洪吉童伝』の主人公) > |
판소리(パンソリ) > |
버스킹(大道芸) > |
꽹과리(鉦) > |
명절 증후군(名節症候群) > |
한지 공예(韓紙工芸) > |
달맞이(お月見) > |
설(お正月) > |
인간 국보(人間国宝) > |
족보(家系図) > |
농악(農楽) > |
함(新婦の家に送る木箱) > |
버선(足袋) > |
거리 공연(大道芸) > |
다문화(多文化) > |
삼육구(369) > |
처녀 귀신(未婚や少女のお化け) > |
산타클로스(サンタ) > |
연날리기(凧揚げ) > |
문화재(文化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