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習」は韓国語で「풍습」という。
|
![]() |
・ | 오랜 풍습이 남아 있다. |
古い風習が残っている。 | |
・ | 시대가 바뀌면 풍습도 바뀐다. |
時代が変われば風習も変わる。 | |
・ | 풍습이란 축제나 전통 행사 등 지역 공동체의 역사적 이벤트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
風習は祭りや伝統行事など、地域共同体の歴史的なイベントを指すことが多い。 | |
・ | 풍습이란 나라나 지역 사회에서 다년에 걸쳐 행해져 온 행사나 의식을 말한다. |
風習とは、国や地域社会で多年に渡って行われてきた、行事や儀式をいう。 | |
・ | 지역 풍습을 소중히 여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
地元の風習を大切にしている方々が多いです。 | |
・ | 그 지역의 풍습에 대해 배웠어요. |
その地域の風習について学びました。 | |
・ | 전통적인 풍습에 따라 행사를 진행했어요. |
伝統的な風習に従い、行事を行いました。 | |
・ | 이 풍습은 예로부터 이어져 왔다고 들었어요. |
この風習は古くから続いていると聞きました。 | |
・ | 그 풍습에는 깊은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
その風習には深い意味があるそうです。 | |
・ | 풍습에 따라 설날에는 특별한 요리를 만듭니다. |
風習に従い、お正月には特別な料理を作ります。 | |
・ | 풍습에 따라 추석에는 조상을 공양합니다. |
風習に従って、お盆には先祖を供養します。 | |
・ | 그 풍습은 가족의 유대를 돈독히 하기 위한 것입니다. |
その風習は、家族の絆を深めるためのものです。 | |
・ | 지역 풍습에 따라 마을 전체에서 축제가 열립니다. |
地元の風習に従って、村全体でお祭りが開かれます。 | |
・ | 풍습을 통해 지역사회의 결속이 강화됩니다. |
風習を通じて、地域社会の結束が強まります。 | |
・ | 이 풍습은 옛날부터 이어 온 것이다. |
この風習は、古くから受け続いてきたものだ。 | |
・ | 풍습이 고루하다고 간주되고 있습니다. |
風習が旧弊だとみなされています。 | |
・ | 그 풍습은 고루하다고 생각됩니다. |
その風習は旧弊だと考えられます。 | |
・ | 이 풍습은 생소하고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
この風習は見慣れないもので、興味深く感じます。 | |
・ | 첫날밤과 관련된 풍습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
初夜に関する風習は、地域によって大きく異なります。 | |
・ | 무속 풍습이 지역사회의 일체감을 조성합니다. |
巫俗の風習が、地域社会の一体感を醸成します。 | |
・ | 그 풍습은 특정 문화권에서만 볼 수 있어요. |
その風習は特定の文化圏でしか見られません。 | |
・ | 절기와 관련된 풍습이 지역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節気に関連する風習が、地域の文化を形作っています。 | |
・ | 한국에서는 지금도 설, 추석 등 주요 명절은 음력으로 축하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
韓国では今でもソルラル、秋夕などの主要な名節は陰暦で祝う風習があります。 | |
・ | 그 선교사는 현지 풍습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
その宣教師は現地の風習を理解しています。 | |
한지(韓紙) > |
문명(文明) > |
무속(巫俗) > |
인간 국보(人間国宝) > |
베스킨라빈스31(ベスキンラビンス) > |
전통공예점(伝統工芸店) > |
고려 팔만대장경(高麗八萬大蔵経) > |
팽이(コマ) > |
아줌마파마(アジュンマパーマ) > |
씻김굿(霊を慰める御祓い) > |
궁전(宮殿) > |
남녀칠세부동석(男女の別をはっきりし.. > |
족보(家系図) > |
전통(伝統) > |
강강술래(カンガンスルレ) > |
만능돌(マルチアイドル) > |
액땜(厄払い) > |
줄다리기(綱引き) > |
토장(土葬) > |
구천(九天) > |
농악(農楽) > |
한복(韓国の民族衣装) > |
치마저고리(チマチョゴリ) > |
홍길동(『洪吉童伝』の主人公) > |
장발족(長髪族) > |
꽹과리(鉦) > |
사물놀이(サムルノリ) > |
풍속(風俗) > |
판소리(パンソリ) > |
중요 문화재(重要文化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