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則」は韓国語で「원칙」という。
|
![]() |
・ | 원칙을 세우다. |
原則を立てる。 | |
・ | 원칙을 지키다. |
原則を守る。 | |
・ | 원칙을 깨다. |
原則を破る。 | |
・ | 원칙에서 벗어나다. |
原則から外れる。 | |
・ | 원칙대로 하다. |
原則通りにやる。 | |
・ | 원칙대로 되지 않다. |
原則通りにいかない。 | |
・ | 무엇인든 원칙대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
何事も原則通りに行われ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원칙대로 처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原則どおり処理するという立場を明らかにした。 | |
・ | 합리적이고 원칙을 중시한다. |
合理的で原則を重視する。 | |
・ | 그는 사기는 치지만 나름의 원칙이 있다. |
彼は詐欺は働くが自分なりの原則がある。 | |
・ | 군대에서도 적재적소 원칙을 따라 병사들의 특기를 고려하여 업무를 배정한다. |
軍隊でも適材適所の原則で兵士に任務を割り当てる。 | |
・ | 일사부재리 원칙에 따라, 이 문제를 다시 이야기하는 일은 없다. |
一事不再理の原則に従い、この問題を再び話すことはない。 | |
・ | 일사부재리는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중요한 원칙이다. |
一事不再理は、時間と労力の無駄を避けるために重要な原則だ。 | |
・ | 일사부재리 원칙을 어길 수 없다. |
一事不再理の原則を破ることはできない。 | |
・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원칙을 잊지 말고, 항상 책임 있는 행동을 하도록 하자. |
豆を植えれば豆が生えるという原則を忘れず、常に責任ある行動を心がけよう。 | |
・ | 뿌린 대로 거둔다는 원칙은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통용된다. |
蒔いた種は刈り取るという原則は、ビジネスの世界でも通用する。 | |
・ | 해외에서 상품을 수입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그 상품에 대해 관세가 부과됩니다. |
海外から商品を輸入する場合、原則としてその商品に対して関税が課される。 | |
・ | 헌정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憲政の原則を守ることが大切です。 | |
・ | 수입품에는 원칙적으로 관세가 부과됩니다. |
輸入品には、原則として関税がかかります。 | |
・ | 노예제도는 인간의 존엄성을 부정하고 인권의 기본 원칙을 침해하는 것이다. |
奴隷制度は、人間の尊厳を否定し、人権の基本的な原則を侵害するものである。 | |
추위(寒さ) > |
외투(外套) > |
불빛(明かり) > |
전형적(典型的) > |
승격(昇格) > |
징역형(懲役刑) > |
처자식(妻子) > |
보험증 번호(保険証番号) > |
의뢰(依頼) > |
당연지사(当然のこと) > |
항명(抗命) > |
꽁무니(尻) > |
소송 비용(訴訟費用) > |
이번 달(今月) > |
스티커(ステッカー) > |
완구(玩具) > |
잔가지(小枝) > |
딴생각(別の事を考えること) > |
빈껍데기(空っぽ) > |
제품(製品) > |
줄넘기(縄跳び) > |
국어(国語) > |
공란(空欄) > |
가난뱅이(貧乏者) > |
내(小川) > |
고의적(故意的) > |
집필자(執筆者) > |
딴지(待った) > |
일거리(仕事) > |
영문(英文)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