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習慣」は韓国語で「습관」という。
|
![]() |
・ | 습관을 들이다. |
習慣をつける。 | |
・ | 습관을 기르다. |
習慣をつける。 | |
・ | 습관이 들다. |
習慣になる。 | |
・ | 습관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
習慣を変えることは、容易ではない。 | |
・ | 좋은 습관은 좋은 열매로 보답 받습니다. |
いい習慣はいい実で応えます。 | |
・ | 습관의 차이가 인생을 바꾼다. |
習慣の違いが人生を変える。 | |
・ | 생활습관병이 원인으로 사망하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
生活習慣病が原因で亡くなる人も増えています。 | |
・ | 한국과 일본의 생활습관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韓国と日本の生活習慣の違いはなんですか。 | |
・ | 외국인과 결혼하면 습관의 차이를 느끼는 경우는 수없이 많다. |
外国人と結婚すると習慣の違いを感じることは数え切れない。 | |
・ | 많이 웃는 습관은 건강에도 좋다. |
たくさん笑う習慣は健康にもよい。 | |
・ | 올바른 습관 하나가 성공을 만들 수 있습니다. |
正しい習慣一つが成功を作ることができます。 | |
・ | 나쁜 습관은 오래가면 갈수록 고치기 힘듭니다. |
悪い習慣は長く続けば続くほど、直すのが難しいです。 | |
・ | 낡은 습관을 깨다. |
古い習慣を打ち破る。 | |
・ | 습관은 사회적 행동 양식뿐만 아니라 개인이 후천적으로 몸에 익힌 행동 양식의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
習慣は社会的な行動様式のみならず、個人が後天的に身に付けた行動様式の意味も含んでいる。 | |
・ | 한국은 지리적으로는 매우 가깝지만 습관이나 문화 매너 등은 일본과 조금 다릅니다. |
韓国は地理的にはとても近いのですが、習慣や文化、マナーは日本のものとちょっと違います。 | |
・ | '작심삼일'은 좋은 습관을 만드는 게 매우 어렵다는 말입니다. |
“三日坊主”は、良い習慣を作り出すことがとても難しいという言葉です。 | |
・ | 수족냉증은 생활습관 개선으로 좋아질 수 있다. |
手足の冷え症は生活習慣の改善で良くなることがある。 | |
・ | 탱탱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생활 습관에 대해 조언을 해 주세요. |
ぷりぷりした肌を維持するための生活習慣についてアドバイスをください。 | |
・ | 나쁜 습관은 백해무익하니 고쳐야 한다. |
悪い習慣は百害あって一利なしだから直すべきだ。 | |
・ | 그녀는 심기일전하여 생활 습관을 바꿨다. |
彼女は心機一転、生活習慣を変えた。 | |
・ | 간질환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
肝疾患の治療には薬物治療と生活習慣の改善が必要だ。 | |
・ | 간질환을 예방하려면 술을 줄이고 건강한 식습관을 가져야 한다. |
肝疾患を予防するには酒を控え、健康的な食習慣を持つ必要がある。 | |
・ | 유아기에 식습관이 형성된다. |
幼児期に食習慣が形成される。 | |
・ | 유아기 때 습관이 형성된다. |
幼児期に習慣が形成される。 | |
・ | 고지혈증은 식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高脂血症は食生活と密接な関係がある。 | |
싫증(嫌気) > |
세계 각국(世界各国) > |
아시아 각국(アジア諸国) > |
청와대(大統領府) > |
사포(紙やすり) > |
한 가닥(一筋) > |
무소속(無所属) > |
스튜(シチュー) > |
장수말벌(雄のスズメバチ) > |
세레모니(セレモニー) > |
외침(叫び) > |
근심거리(心配事) > |
대위(大尉) > |
직경(直径) > |
성황리(盛況裏) > |
타임업(タイムアップ) > |
격납고(格納庫) > |
구심점(求心点) > |
승인률(承認率) > |
동료 의식(仲間意識) > |
개중(数ある中) > |
후사(厚謝) > |
고민(悩み) > |
유리(ガラス) > |
고의적(故意的) > |
틈새 시장(ニッチ市場) > |
홀짝(丁半) > |
이별(別れ) > |
관현악단(管弦楽団) > |
경계되다(警戒され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