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切ない思い」は韓国語で「설움」という。
|
![]() |
・ | 세입자의 설움을 잘 압니다. |
借家人の切ない思いをよく知っています。 | |
・ | 비인기 종목의 설움을 이겨낸 선수들의 스토리에 감동을 받았다. |
不人気種目の悲しさを耐え抜いた選手たちのストーリに感動した。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듯이,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모여 지원 그룹을 만들었다. |
未亡人の悲しみは男やもめが分かるように、同じ境遇の人々が集まってサポートグループを作った。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는 생각은 공감의 중요성을 가르쳐 준다. |
未亡人の悲しみは男やもめが分かるという考えは、共感の重要性を教えてくれる。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고, 같은 경험을 한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일이 있다. |
未亡人の悲しみは男やもめが分かるように、同じ経験をした人にしか理解できないことがある。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니, 그들끼리 모여서 소통하는 자리가 필요하다. |
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ので、彼ら同士で集まって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取る場が必要だ。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더니, 그가 진심으로 나를 위로해 주었다. |
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と言うように、彼は心から私を慰めてくれた。 | |
・ | 힘든 시간을 보낸 후,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라는 말을 실감하게 되었다. |
辛い時間を過ごした後、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という言葉を実感するようになった。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라는 말을 새삼 느꼈다, 그도 같은 아픔을 겪었으니. |
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という言葉を改めて感じた。彼も同じ痛みを経験したからだ。 | |
・ | 그녀는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며, 같은 처지의 사람들과 이야기하기를 원했다. |
彼女は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と言って、同じ境遇の人たちと話したがっていた。 | |
・ | 같은 아픔을 겪어본 사람만이 그 고통을 알 수 있다.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 |
同じ痛みを経験した人だけがその苦しみを知る。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 | |
・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니까, 그녀의 슬픔을 잘 이해해줄 수 있을 것이다. |
未亡人の悲しみは独身男が知ると言うから、彼女の悲しみをよく理解してあげられるだろう。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설움이 복받치다(ソルミ ボクッパチダ) | 悲しみがこみ上げる |
과부 설움은 홀아비가 안다(クァブ ソルムン ホルアビガ アンダ) | 蛇の道は蛇、餅は餅屋 |
양어장(養魚場) > |
어혈(瘀血) > |
국가(国家) > |
조각배(小舟) > |
크레용(クレヨン) > |
생체(生体) > |
팔방(八方) > |
회계사(会計士) > |
기본(基本) > |
사이비(いんちき) > |
의학적(医学的) > |
호경기(好景気) > |
짐(荷物) > |
수습(収拾) > |
인기(人気) > |
적정선(適正水準) > |
설레발(焦りながらせわしく立ち回る行.. > |
시형(夫の兄嫁) > |
주권 국가(主権国家) > |
열두 시(12時) > |
은연중(それとなく) > |
알선(斡旋) > |
미련(未練) > |
영해(領海) > |
심리적 압박(心理的圧迫) > |
기재(記載) > |
일방적(一方的) > |
영국(イギリス) > |
보험사(保険会社) > |
무더기(大量)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