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表現」は韓国語で「표현」という。
|
![]() |
・ | 위의 주제에 대해 제시된 표현을 사용해서 한 문장으로 만드십시오 |
上のテーマに対し、提示された表現を使って一文を作りなさい。 | |
・ | 본 것, 느낀 것을 모두 한국어로 표현하고 싶어요. |
見たもの、感じたものをすべて韓国語で表現したいです。 | |
・ | 처음으로 만난 한국인에게 한국어로 어떻게 표현해야 좋을지 몰라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
初めてお会いした韓国人に韓国語でどのように表現すれば良いかが分からなくて、悩んでいます。 | |
・ | 언젠가 한국인에게 이 표현을 사용하고 싶다. |
いつか韓国人にこの表現を使いたい。 | |
・ | 한국어의 적절한 표현 방법을 익히는 데는 아쉽지만 지름길은 없습니다. |
韓国語の適切な表現方法を覚えるのに、残念ながら早道はありません。 | |
・ | 어릴 적부터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을 부모가 확실히 가르쳐줘야 한다. |
幼い頃から愛を表現する方法を、 両親がしっかりと教えてやらねばならない。 | |
・ | 한국어 표현을 사용해 보고 싶어요. |
韓国語の表現を使ってみたいです。 | |
・ | 한국어 표현을 더 알고 싶어요. |
韓国語の表現をもっと知りたいです。 | |
・ | 한국어 표현을 배웠습니다. |
韓国語の言い回しを教えてもらいました。 | |
・ | 소중한 사람을 먼저 보내는 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슬픔이다. |
大切な人を先立たれるのは、言葉にできないほどの悲しみだ。 | |
・ | 논술식 시험에서 논리적인 사고와 풍부한 표현력이 필요해요. |
論述式の試験で、論理的な思考と豊かな表現力が必要です。 | |
・ | 논술식 문제에서는 자신의 의견을 확실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
論述式の問題では、自分の意見をしっかりと表現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 | |
・ | 주관식 문제는 지식뿐만 아니라 표현력도 중요합니다. |
記述式問題は、知識だけでなく表現力も問われます。 | |
・ | 검열이 엄격해지면 표현의 자유가 위협받게 됩니다. |
検閲が厳しくなると、表現の自由が脅かされます。 | |
・ | 정부의 검열이 강화되어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고 있습니다. |
政府による検閲が強化され、表現の自由が制限されています。 | |
・ | 격한 표현으로 상대를 비난했다. |
激しい表現で相手を非難した。 | |
・ | 그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은 가뭄에 콩 나듯이 드물다. |
彼が自分の感情を素直に表現するのは、大変稀にしかない。 | |
・ | 사랑을 속삭이는 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전하는 방법이다. |
愛をささやくことは、言葉では表現できない感情を伝える方法だ。 | |
・ | 개는 풍부한 감정을 소유하고 있는데 표정이나 고리 몸짓 등 몸 전체를 사용해 감정 표현을 합니다. |
犬は豊かな感情の持ち主であり、表情やしっぽ、しぐさなど体全体を使って感情表現をします。 | |
어린이날(子供の日) > |
행상(物売り) > |
접목(接ぎ木) > |
연통(煙筒) > |
적폐(積弊) > |
서양인(西洋人) > |
비합리적(非合理的) > |
구두(ビジネスシューズ) > |
정신 피로(精神疲労) > |
물결(波) > |
일갈(一喝) > |
탄성(嘆声) > |
사이(間) > |
고령화 사회(高齢化社会) > |
장가(男性の結婚) > |
적금(積み立て) > |
여기저기(あちこち) > |
카피라이터(コピーライター) > |
기획자(プランナ) > |
벌칙(罰則) > |
지역 개발(地域開発) > |
모욕감(侮辱感) > |
불효자(不孝者) > |
구아바(グアバ) > |
이용객(利用客) > |
들통(ばれること) > |
사전 조율(根回し) > |
경마장(競馬場) > |
완승(完勝) > |
사무직(事務職)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