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材料」は韓国語で「재료」という。
|
![]() |
・ | 좋은 식재료를 써야 맛있어요. |
よい食材を使ってこそおいしいです。 | |
・ | 요리의 재료를 준비하다. |
料理の材料を用意する。 | |
・ | 빵의 원료는 밀이지만 재료는 밀가루입니다. |
パンの原料は小麦だけど材料は小麦粉です。 | |
・ | 책의 원료는 펄프지만 재료는 종이입니다. |
本の原料はパルプだけど材料は紙です。 | |
・ | 신선한 재료를 그대로 요리하는 것으로 재료의 맛을 살릴 수 있다. |
新鮮な材料をそのまま料理することで、材料の味を生かすことができる。 | |
・ | 주요 재료를 싸게 조달하다. |
主要な材料を安く調達する。 | |
・ | 그들의 연구소는 첨단 재료 과학을 전문으로 한다. |
彼らの研究所は先端の材料科学に特化しています。 | |
・ |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서 푹 끓이다. |
いろんな材料を入れてじっくり煮込む。 | |
・ | 국물을 낸 재료는 버리지 않고 사용해요. |
だしを取った後の材料は捨てずに使います。 | |
・ | 반찬을 담을 때 재료의 형태와 색을 의식하면 아름답게 마무리된다. |
おかずを盛る際には、食材の形や色を意識すると美しく仕上がる。 | |
・ | 앞치마를 두른 채로, 재료를 준비한다. |
エプロンをつけたまま、食材を準備する。 | |
・ | 초밥 재료는 얇게 써는 것이 포인트다. |
お寿司のネタは薄切りにするのがポイントだ。 | |
・ | 약불로 데우면 재료의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아요. |
弱火で温めると、食材の水分が逃げにくくなります。 | |
・ | 약불로 볶으면 재료가 타지 않아요. |
弱火で炒めると、食材が焦げにくくなります。 | |
・ | 약불로 끓이면 재료가 타지 않고 맛있게 익어요. |
弱火で煮ると、具材が焦げずに美味しく仕上がります。 | |
・ | 약불로 끓이면 재료의 감칠맛이 우러나옵니다. |
弱火で煮ると、素材の旨味が引き出されます。 | |
・ | 약불에서 볶으면 재료가 고르게 익습니다. |
弱火で炒めると、具材が均等に火が通りま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원재료(ウォンジェリョ) | 原材料 |
식재료(シクチェリョ) | 食材 |
부재료(プジャリョ) | 副材料 |
주재료(주재료) | 主材料、主な材料 |
재료비(チェリョビ) | 材料費 |
배은망덕(恩知らず) > |
전어(コノシロ) > |
메밀차(そば茶) > |
현장(現場) > |
자생력(自ら生きる力) > |
취재팀(取材チーム) > |
뇌물 수수(贈収賄) > |
동원(動員) > |
애초(初め) > |
전작(前作) > |
트랙 경기(トラック競技) > |
고분(古墳) > |
이직(転職) > |
수혜자(受益者) > |
췌장암(すい臓がん) > |
비즈니스 모델(ビジネスモデル) > |
앞뒷면(裏表) > |
배드민턴(バドミントン) > |
다림질(アイロンかけ) > |
자극제(刺激剤) > |
물건(物件) > |
거동(立ち居振る舞い) > |
안전 진단(安全診断) > |
수식(修飾) > |
공모전(公募展) > |
치욕적(恥辱的) > |
재검토(再検討) > |
비빔밥(ビビンバ) > |
통근 버스(通勤バス) > |
우렁 각시(誰も知らずに良いことを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