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読者」は韓国語で「독자」という。
|
![]() |
・ | 신문사는 독자로 부터 참신한 의견을 모으고 있습니다. |
新聞社は読者からの斬新な意見を集めています。 | |
・ | 책 제목은 독자의 흥미를 끄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입니다. |
本のタイトルは読者の興味を引く重要な要因の一つです。 | |
・ | 이 신문의 컬럼은 독자의 마음을 정말 잘 이해하고 썼네요. |
この新聞のコラムは読者の心を本当に理解して書いたのですね。 | |
・ | 현지 언론과 독자의 호평을 받아 왔다. |
現地マスコミと読者から好評を得てきた。 | |
・ | 다양한 독자로부터 메일을 받았다. |
様々な読者からメールをもらった。 | |
・ | 저자는 항상 독자의 흥미를 끄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
著者は常に読者の興味を引く方法を模索します。 | |
・ | 이 소설은 광범위한 독자층에게 호소할 수 있을 것입니다. |
この小説は広範な読者層に訴え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 |
・ | 독자의 반응에 따라 저자는 이야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読者の反応によって、著者は物語を調整する必要があります。 | |
・ | 이 책은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토리입니다. |
この本は読者の好奇心を刺激するようなストーリーです。 | |
・ | 이 책은 독자에게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는 기쁨을 제공합니다. |
この本は読者に新しい世界を探検する喜びを提供します。 | |
・ | 저자는 독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캐릭터를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
著者は読者の期待に応えるために、キャラクターを繊細に描写します。 | |
・ | 저자는 독자에게 깊은 통찰을 줌으로써 그들을 끌어당깁니다. |
著者は読者に深い洞察を与えることで彼らを惹きつけます。 | |
・ | 저자는 독자가 이야기 속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냅니다. |
著者は読者が物語の中に没入できるような環境を作り出します。 | |
・ | 이 책은 독자가 현실 세계를 벗어나 새로운 세계에 몰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
この本は読者が現実の世界から離れて、新しい世界に没頭することを可能にします。 | |
・ | 저자는 독자가 책장을 넘기는 것을 멈출 수 없게 만듭니다. |
この本は読者が現実の世界から離れて、新しい世界に没頭することを可能にします。 | |
・ | 저자는 독자에게 깊은 통찰과 사색을 가져다줍니다. |
著者は読者に深い洞察と思索をもたらします。 | |
・ | 이 책은 독자에게 감동적인 엔딩을 제공합니다. |
この本は読者に感動的なエンディングを提供します。 | |
・ | 독자들은 이 소설 캐릭터의 갈등에 공감할 것입니다. |
読者はこの小説のキャラクターの葛藤に共感するでしょう。 | |
・ | 저자는 독자의 상상력을 북돋우는 묘사를 합니다. |
著者は読者の想像力をかきたてる描写を行います。 | |
・ | 이 책은 독자들에게 놀라움과 감동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
この本は読者に驚きと感動をもたらすでしょう。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독자적(トクチャジョク) | 独自的 |
중독자(チュンドクチャ) | 中毒者 |
애독자(エドクチャ) | 愛読者 |
독자성(トクチャソン) | 独自性 |
구독자(クドクッチャ) | 購読者 |
독자층(トクチャチュン) | 読者層 |
작자 미상(作者未詳) > |
일문학(日本文学) > |
에세이(エッセイ) > |
본문(本文) > |
민화(民話) > |
삼행시(あいうえお作文) > |
옛날이야기(昔話) > |
문고본(文庫本) > |
문체(文体) > |
본론(本題) > |
상하권(上下卷) > |
작문(作文) > |
동화(童話) > |
무명작가(無名作家) > |
등장인물(登場人物) > |
직역(直訳) > |
소설가(小説家) > |
문장(文章) > |
첨삭하다(添削する) > |
서론(序論) > |
집필자(執筆者) > |
색인(索引) > |
종이책(紙の本) > |
처녀작(処女作) > |
문예 작품(文芸作品) > |
산문집(散文集) > |
독서(読書) > |
픽션(フィクション) > |
금서(禁書) > |
추천 도서(推薦図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