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発議」は韓国語で「발의」という。
|
![]() |
・ | 도시 전체가 일촉즉발의 분위기에 휩싸였다. |
街中が一触即発のムードに包まれた。 | |
・ | 그의 한마디가 일촉즉발의 불씨가 되었다. |
彼の一言が一触即発の火種になった。 | |
・ | 회의는 일촉즉발의 전개로 흘러갔다. |
会議は一触即発の展開となった。 | |
・ | 일촉즉발의 상황이 가까스로 진정되었다. |
一触即発の状況がなんとか収まった。 | |
・ | 일촉즉발의 분위기에 모두가 숨을 죽였다. |
一触即発の空気に、誰もが息を呑んだ。 | |
・ | 국경에서는 일촉즉발의 긴장이 계속되고 있다. |
国境では一触即発の緊張が続いている。 | |
・ | 일촉즉발의 위기를 어떻게 넘기느냐가 관건이다. |
一触即発の危機をどう乗り越えるかが鍵だ。 | |
・ | 현장은 일촉즉발의 분위기였다. |
現場は一触即発の雰囲気だった。 | |
・ | 무주공산인 지역은 개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無主空山の地域は開発の対象になることもある。 | |
・ | 새 신발의 힐이 뾰죽해서 걷기 불편합니다. |
新しい靴のかかとが尖っているので、歩きづらいで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새발의 피(セバレピ) | 雀の涙 |
간발의 차(이)(カンパレチャ) | 間一髪、わずかの差、一足違い |
총기 규제(銃規制) > |
교수형(絞首刑) > |
사법(司法) > |
무법천지(無法地帯) > |
최고형(最高刑) > |
여죄(余罪) > |
고소(告訴) > |
선고받다(宣告される) > |
피의자(被疑者) > |
방증(傍証) > |
합헌(合憲) > |
살인죄(殺人罪) > |
법규(法規) > |
사법고시(司法試験) > |
형사 소송(刑事訴訟) > |
배상금(賠償金) > |
실정법(実定法) > |
사실혼(事実婚) > |
체결(締結) > |
재판관(裁判官) > |
민법(民法) > |
판결이 내리다(判決が下る) > |
증거 불충분(証拠不十分) > |
축재하다(蓄える) > |
징계(懲戒) > |
저작권법(著作権法) > |
허위 공문서(偽造公文書) > |
가압류(仮差押) > |
적법하다(適法だ) > |
기일(期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