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話」は韓国語で「민화」という。
|
![]() |
・ | 민화는 방언의 보고입니다. |
民話は方言の宝庫です。 | |
・ | 밤이 되면 할머니로부터 민화를 듣는 것이 즐거움이었다. |
夜になると祖母から民話を聞かされるのが楽しみだった。 | |
・ | 이 지역에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화가 많이 있어요. |
この地域には昔から伝わる民話がたくさんあります。 | |
・ | 민화에는 종종 마법이나 신기한 사건이 그려집니다. |
民話にはしばしば魔法や不思議な出来事が描かれます。 | |
・ | 민화는 종종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民話はしばしば教訓を含んでいます。 | |
・ | 이 영화는 한 민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요. |
この映画はある民話を基にしています。 | |
・ | 그 민화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その民話は地域の歴史や文化を反映しています。 | |
・ | 그 민화는 옛날부터 이 지역에서 구전되어 온 것입니다. |
あの民話は昔からこの地域で語り継がれてきたものです。 | |
・ | 민화는 옛 사람들의 생활과 신앙을 전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
民話は昔の人々の生活や信仰を伝える重要な手段でした。 | |
・ | 그의 소설은 고대의 민화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것입니다. |
彼の小説は古代の民話を現代風にアレンジしたものです。 | |
・ | 어렸을 때 할아버지로부터 민화를 듣는 것을 좋아했어요. |
子供の頃、祖父から民話を聞かされるのが好きでした。 | |
・ | 그녀의 소설은 민화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彼女の小説は民話の影響を受けています。 | |
・ | 민화는 특정 문화나 민족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民話は特定の文化や民族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反映しています。 | |
・ | 그 민화는 싸움과 어려움을 이겨낸 영웅담입니다. |
その民話は戦いや困難を乗り越えた英雄譚です。 | |
・ | 민화에는 현대에 통하는 보편적인 교훈이 담겨 있어요. |
民話には現代に通じる普遍的な教訓が込められています。 | |
・ | 민화를 번역하여 해외에 소개하고 있어요. |
民話の翻訳を行って、海外で紹介しています。 | |
・ | 민화는 문학의 장르로 널리 인식되고 있어요. |
民話は文学のジャンルとして広く認識されています。 | |
・ | 민화는 구전 문학의 한 형태로, 대대로 구전되어 왔습니다. |
民話は口承文学の一形態であり、代々語り継がれてきました。 | |
・ | 그 민화는 지금도 여전히 현지 아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
その民話は今もなお地元の子供たちに愛されています。 | |
・ | 그녀의 그림책은 어떤 민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
彼女の絵本はある民話を元にしています。 | |
・ | 민화 속에서 첫날밤은 중요한 모티브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民話の中で、初夜は重要なモチーフとして扱われることがあります。 | |
・ | 옛날이야기는 옛날부터 전해내려 온 민화의 하나입니다. |
昔話は、昔から語り継がれてきた民話のひとつです。 | |
・ | 이 강은 많은 민화와 전설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この川は多くの民話や伝説の中で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ます。 | |
・ | 설화란 구전된 신화·전설·민화 등을 말한다. |
說話とは語り伝えられた神話・伝説・民話などをいう。 | |
・ | 도자기, 민화, 보자기는 전통적인 삶 속에서 사랑 받아 온 것들이다. |
陶磁器、民話、風呂敷は伝統的な暮らしの中で愛されてきたものである。 |
독자층(読者層) > |
전래 동화(昔話) > |
오탈자(誤字脱字) > |
문체(文体) > |
산문집(散文集) > |
논설문(論說文) > |
묘사하다(描写する) > |
간행하다(刊行する) > |
최우수작(最優秀作) > |
당선작(当選作) > |
사서(司書) > |
문헌(文献) > |
동인지(同人誌) > |
사진집(写真集) > |
증쇄(増刷) > |
목차(目次) > |
도서 목록(図書目録) > |
사행시(四行詩) > |
연재 소설(連載小説) > |
번역 문학(翻訳文学) > |
책(本) > |
저술(著述) > |
해독하다(解読する) > |
시를 짓다(詩を作る) > |
전작(全作品) > |
노벨 문학상(ノーベル文学賞) > |
붓을 들다(筆を執る) > |
대중소설(大衆小説) > |
출판계(出版界) > |
동화책(童話の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