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외국어를 그 원문의 어법에 충실하게 번역하는 것을 직역이라 한다. |
外国語をその原文の語法に忠実に翻訳することを直訳という。 | |
・ | 직역과 의역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
直訳と意訳の違いがよく分からない。 | |
・ | 의역을 사용한 이유는 직역으로는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
意訳を使った理由は、直訳では伝わらないからだ。 | |
・ | 직역으로는 그 말의 뉘앙스가 전해지지 않는다. |
直訳では、その言葉のニュアンスが伝わらない。 | |
・ | 직역과 의역의 차이가 번역의 어려움을 말해준다. |
直訳と意訳の違いが、翻訳の難しさを物語っている。 | |
・ | 직역 결과 문장이 어색해졌다. |
直訳の結果、文章がぎこちなくなった。 | |
・ | 직역은 때로 오해를 낳는 원인이 된다. |
直訳は時に誤解を生む原因となる。 | |
・ | 직역으로는 전할 수 없는 뉘앙스가 많다. |
直訳では伝えきれないニュアンスが多い。 | |
・ | 직역만으로는 문맥이 전달되기 어렵다. |
直訳だけでは、文脈が伝わりにくい。 | |
・ | 직역을 피하기 위해 의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直訳を避けるために、意訳を使うことが多い。 | |
・ | 직역에서는 문장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가 있다. |
直訳では、文章の流れがスムーズでないことがある。 | |
・ | 직역으로는 전할 수 없는 뉘앙스를 의역으로 보충했다. |
直訳では伝えられないニュアンスを意訳で補った。 | |
・ | 직역과 의역을 비교함으로써 번역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
直訳と意訳を比較することで、翻訳の精度が向上する。 | |
・ | 이 문장을 직역하면 의미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
この文章を直訳すると、意味が不明になることがある。 | |
・ | 직역하면 의미가 전달되기 어려운 부분을 의역했다. |
直訳だと意味が伝わりにくい部分を意訳した。 | |
・ | 외국어를 그 원문에 충실히 직역하다. |
外国語をその原文に忠実に翻訳する。 | |
・ | 무리하게 직역하면 본래의 의미와 동떨어진 번역이 된다. |
無理やり直訳したら、本来の由来とはかけ離れた訳になる。 | |
・ | 직역과 의역 어느 쪽이 좋은지 모르겠다. |
直訳と意訳のどちらが良いか分からない。 | |
・ | 영문을 직역하다. |
英文を直訳する。 | |
・ | 직역하면 내용이 이상해 진다. |
直訳すると変な内容になる。 | |
・ | 원문을 직역하다. |
原文を直訳する。 | |
・ | 직역과 의역을 조합하는 방법도 있다. |
直訳と意訳を組み合わせる方法もある。 | |
・ | 직역과 의역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포인트다. |
直訳と意訳のバランスを取るのがポイントだ。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직역하다(チギョカダ) | 直訳する |
비평가(批評家) > |
문예(文芸) > |
문학(文学) > |
서점(書店) > |
집필자(執筆者) > |
동인지(同人誌) > |
진입로(進入路) > |
아동 서적(児童書) > |
의역하다(意訳する) > |
단편 소설(短編小説) > |
소책자(小冊子) > |
독해(読解) > |
코믹(コミック) > |
캐릭터(キャラクター) > |
수필(エッセー) > |
대중소설(大衆小説) > |
독서(読書) > |
작문(作文) > |
저작활동(著作活動) > |
해독(解読) > |
논픽션(ノンフィクション) > |
한국 문학(韓国文学) > |
대중 문학(大衆文学) > |
시인(詩人) > |
톨스토이(トルストイ) > |
흥부와 놀부(フンブとノルブ) > |
번역서(翻訳書籍) > |
국문학(国文学) > |
베르사이유의 장미(ベルサイユのばら.. > |
문고(文庫)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