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출산은 진통에서 시작합니다. |
出産は陣痛ではじまります。 | |
・ | 진통을 겪다. |
難航する。 | |
・ | 진통이 시작되었다고 해서 바로 출산하는 것은 아니다. |
陣痛が始まったからといってすぐお産になるわけではない。 | |
・ | 아랫배를 중심으로 진통과 같은 통증을 느꼈다. |
下腹部を中心に陣痛のような痛みを覚えた。 | |
・ | 진통에서 출산까지 걸리는 시간은 임산부 각자 다릅니다. |
陣痛から出産までにかかる時間も、妊婦さんそれぞれで違います。 | |
・ | 의사는 진통제를 처방했습니다. |
医師は痛み止めを処方しました。 | |
・ | 관자놀이에 두통이 생겨서 진통제를 먹었어요. |
こめかみに頭痛が出たので、鎮痛剤を飲みました。 | |
・ | 진통이나 파수가 시작되면 병원에 연락하여 입원하게 됩니다. |
陣痛や破水が始まって病院に連絡し、入院となります。 | |
・ | 출산 시에 진통실로부터 분만실로 방을 이동합니다. |
出産時に陣痛室から分娩室へとお部屋の移動します。 | |
・ | 산통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를 사용했다. |
産痛を軽減するために、痛み止めを使用した。 | |
・ | 절개 후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가 처방될 수 있다. |
切開後の痛みを和らげるために、痛み止めが処方されることがある。 | |
・ | 수술 후에는 절개 부분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가 처방된다. |
手術後は、切開部分の痛みを和らげるために鎮痛剤が処方される。 | |
・ | 진통제를 먹고 나서 머리가 무감각해졌다. |
痛み止めを飲んでから頭が無感覚になった。 | |
・ |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하다. |
鎮痛薬で痛みを緩和する。 | |
・ | 진통제를 복용해 통증을 완화했다. |
痛み止めを服用して痛みを和らげた。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진통제(チントンジェ) | 鎮痛剤 |
진통을 겪다(チントンウルキョッタ) | 難航する、苦しみを味わう |
해열 진통제(ヘヨルジントンジェ) | 解熱鎮痛剤 |
고령 출산(高齢出産) > |
아이를 갖다(子供を授かる) > |
이유식(離乳食) > |
모성(母性) > |
태반(胎盤) > |
업다(おんぶする) > |
태동(胎動) > |
젖(을) 먹이다(乳を飲ませる) > |
칭얼대다(ぐずる) > |
피임(避妊) > |
세쌍둥이(三つ子) > |
요람(ゆりかご) > |
아장아장(よちよち) > |
유모차(ベビーカー) > |
출산 휴가(出産休暇) > |
지지(ばっちい) > |
역아(逆子) > |
임신부(妊産婦) > |
임신~개월(妊娠~か月) > |
자의식(自意識) > |
조산(早産) > |
메롱(アッカンベー) > |
기혼모(既婚の母) > |
젖을 빨다(乳を飲む) > |
이름짓기(名づけ) > |
탯줄(へその緒) > |
대리모(代理母) > |
아기 마사지(ベビーマッサージ) > |
아이를 낳다(子どもを産む) > |
임신기(妊娠期)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