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静寂」は韓国語で「정적」という。
|
![]() |
・ | 정적을 깨다. |
静寂を破る。 | |
・ | 숲 속은 완전한 정적에 싸여 있었다. |
森の中は完全な静寂に包まれていた。 | |
・ | 심야의 거리는 정적에 휩싸여 아련하고 조용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
深夜の街は静寂に包まれ、ほんのりとした静かな雰囲気が漂っていた。 | |
・ | 이른 아침의 공원은 아직 정적에 휩싸여 있었고, 새들의 지저귐이 기분 좋았다. |
早朝の公園はまだ静寂に包まれ、鳥のさえずりが心地よかった。 | |
・ | 산 정상에서 보는 일출은 정적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순간이었다. |
山の頂上で見る日の出は、静寂と美しさが共存している瞬間だった。 | |
・ | 정적의 사막에서 별빛이 놀라울 정도로 빛나고 있었다. |
静寂の砂漠で、星空が驚くほど輝いていた。 | |
・ | 폭풍이 지나가고 정적이 돌아왔을 때 자연의 강력함을 느꼈다. |
嵐が過ぎ去り、静寂が戻ってきたとき、自然の力強さを感じた。 | |
・ | 사찰 경내에서는 기도의 정적이 찾아오는 사람들을 감싸고 있었다. |
寺院の境内では、祈りの静寂が訪れる人たちを包み込んでいた。 | |
・ | 그녀의 한숨이 방에 정적을 가져왔다. |
彼女のため息が部屋に静寂をもたらした。 | |
・ | 밤의 정적에 귀를 기울이면 마음이 안정됩니다. |
夜の静寂に耳を澄ませると心が落ち着きます。 | |
・ | 감정적이지 않게 말을 가려서 하려고 한다. |
あまり感情的にならず、言葉を選んで話すようにしています。 | |
・ | 그가 범인이라는 결정적 증거는 없었다. |
彼が犯人だという決定的な証拠はなかった。 | |
・ | 감독의 전략이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
監督の戦略が勝敗を分ける決定的な要因となった。 | |
・ | 마지막 한 발이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였어요. |
最後の一発が勝敗を分ける決定的な要素でした。 | |
・ | 선수의 정신력이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어요. |
選手の精神力が勝敗を分ける決定的な要素となりました。 | |
・ | 안정적인 플레이로 점수차를 벌려 경기를 결정지었어요. |
安定したプレーで点差を広げ、試合を決定づけました。 | |
・ | 감정적으로 죽기 살기로 싸우는 사람들이 있다. |
感情的に死に物狂いで戦う人がいる。 | |
・ | 감정적으로 말하지 말고, 차분히 말을 삼가며 이야기합시다. |
感情的にならず、冷静に口を慎んで話しましょう。 | |
・ | 그는 낙천주의자라서 어떤 어려움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입니다. |
彼は楽天主義者なので、どんな困難も前向きに捉える。 | |
・ | 골키퍼는 자주 경기의 결정적인 순간에 등장합니다. |
ゴールキーパーはしばしば試合の決定的な瞬間に登場します。 | |
덕(おかげ) > |
교외(郊外) > |
쟁의(争議) > |
산삼(深山に野生する高麗人参) > |
사교성(社交性) > |
날치기(ひったくり) > |
브로커(ブローカー) > |
저(著) > |
종착지(終着地) > |
안심(ヒレ) > |
다금바리(アラ) > |
공제(控除) > |
핏물(血糊) > |
절(불교)(寺) > |
검사(検査) > |
도움(助け) > |
눌은밥(お焦げ雑炊) > |
막일(荒仕事) > |
과소비(過度な消費) > |
새송이버섯(エリンギ) > |
좌선(座禅) > |
소혀(牛タン) > |
오무라이스(オムライス) > |
환담(歓談) > |
가래(鋤) > |
불구(体の不自由なこと) > |
차등(差等) > |
식도락(食道楽) > |
나잇값(年甲斐) > |
성지(聖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