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인에게 알기 쉽게 의역하다. |
韓国人にわかりやすく意訳する。 | |
・ | 직역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표현이 의역하면 전달하기 쉬운 경우가 있다. |
直訳では伝わりにくい表現が、意訳すると伝わりやすい場合がある。 | |
・ | 의역할 때 번역가의 주관이 들어간다. |
意訳する際、翻訳家の主観が入り込む。 | |
・ | 의역을 할 때는 어떤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나요? |
意訳をする際にどのような点に気をつける必要がありますか。 | |
・ | 직역과 의역을 비교함으로써 번역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
直訳と意訳を比較することで、翻訳の精度が向上する。 | |
・ | 직역으로는 전할 수 없는 뉘앙스를 의역으로 보충했다. |
直訳では伝えられないニュアンスを意訳で補った。 | |
・ | 직역을 피하기 위해 의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直訳を避けるために、意訳を使うことが多い。 | |
・ | 직역과 의역의 차이가 번역의 어려움을 말해준다. |
直訳と意訳の違いが、翻訳の難しさを物語っている。 | |
・ | 의역을 사용한 이유는 직역으로는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
意訳を使った理由は、直訳では伝わらないからだ。 | |
・ | 직역과 의역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
直訳と意訳の違いがよく分からない。 | |
・ | 직역하면 의미가 전달되기 어려운 부분을 의역했다. |
直訳だと意味が伝わりにくい部分を意訳した。 | |
・ | 직역과 의역 어느 쪽이 좋은지 모르겠다. |
直訳と意訳のどちらが良いか分からない。 | |
・ | 원문의 의도를 정확하게 의역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原文の意図を正確に意訳するのは至難の業だ。 | |
・ | 그 의역은 독자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
その意訳が、読者に新しい視点を提供している。 | |
사진집(写真集) > |
이솝우화(イソップ寓話) > |
에세이(エッセイ) > |
원고(原稿) > |
걸작(傑作) > |
시(詩) > |
증쇄(増刷) > |
졸작(拙作) > |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ーの森) > |
사행시(四行詩) > |
대형 서점(大型書店) > |
동인지(同人誌) > |
당선작(当選作) > |
책장(ページ) > |
상권(上卷) > |
인문서(人文書) > |
복선을 깔다(伏線を敷く) > |
시조(時調) > |
전집(全集) > |
시상(詩想) > |
만화책(漫画本) > |
번역서(翻訳書籍) > |
종이책(紙の本) > |
저작자(著作者) > |
책 한 권(本1冊) > |
저서(著書) > |
요리책(料理本) > |
고전 문학(古典文学) > |
저작활동(著作活動) > |
도서(図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