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制度」は韓国語で「제도」という。
|
![]() |
・ | 교육은 기본적인 제도입니다. |
教育は基本的な制度です。 | |
・ | 결혼은 사회 제도입니다. |
結婚は社会制度です。 | |
・ | 민주주의는 정치제도이다. |
民主主義は政治制度である。 | |
・ | 종교는 영적인 제도입니다. |
宗教はスピリチュアルな制度です。 | |
・ | 이 제도를 시행하려면 기업을 설득해야 한다. |
この制度を施行するならば、企業を説得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이 제도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
この制度の長所を積極的に宣伝すべきである。 | |
・ | 새로운 제도를 명확히 규정했다. |
新しい制度を明確に規定した。 | |
・ | 직권 남용을 막기 위한 제도가 필요합니다. |
職権乱用を防ぐための制度が必要です。 | |
・ | 새로운 제도를 국민에게 공포했다. |
新しい制度を国民に公布した。 | |
・ | 불구속 입건은 피의자의 인권을 고려한 제도입니다. |
書類送検は被疑者の人権を配慮した制度です。 | |
・ | 불구속 기소는 피의자의 인권을 존중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在宅起訴は被疑者の人権を尊重するための制度です。 | |
・ | 사법 제도의 개혁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
司法制度の改革が進められています。 | |
・ | 이 제도는 특정 업종 종사자에게 적용됩니다. |
この制度は特定業種の従事者に適用されます。 | |
・ | 가산점 제도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加点制度について説明してください。 | |
・ | 징계 처분은 경영자에게 있어서 기업의 질서와 이익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다. |
懲戒処分は、経営者からすれば企業の秩序・利益を維持するための制度である。 | |
・ | 이 제도에는 모순이 내재한다. |
この制度には矛盾が内在する。 | |
주권자(主権者) > |
조국(祖国) > |
당쟁(党争) > |
공화당(共和党) > |
정계 개편(政界再編) > |
실권(失権) > |
창조경제(創造経済) > |
선언(宣言) > |
반체제(反体制) > |
선언하다(宣言する) > |
망명지(亡命先) > |
정의(正義) > |
이념(理念) > |
방한하다(訪韓する) > |
신당(新党) > |
파시즘(ファシズム) > |
혁명(革命) > |
체제(体制) > |
언론(マスコミ) > |
강경 우파(強硬右派) > |
참정권(参政権) > |
즉위식(即位式) > |
임명하다(任命する) > |
재일동포(在日コリアン) > |
입후보(立候補) > |
총통(総統) > |
출구 조사(出口調査) > |
출사표(出師の表) > |
나라(国) > |
성명(声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