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制度」は韓国語で「제도」という。
|
![]() |
・ | 교육은 기본적인 제도입니다. |
教育は基本的な制度です。 | |
・ | 결혼은 사회 제도입니다. |
結婚は社会制度です。 | |
・ | 민주주의는 정치제도이다. |
民主主義は政治制度である。 | |
・ | 종교는 영적인 제도입니다. |
宗教はスピリチュアルな制度です。 | |
・ | 이 제도를 시행하려면 기업을 설득해야 한다. |
この制度を施行するならば、企業を説得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이 제도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
この制度の長所を積極的に宣伝すべきである。 | |
・ | 산업이 내리막길을 가면서 지역 경제도 어려워졌다. |
産業が衰退することで、地域経済も厳しくなった。 | |
・ | 이야기는 물 흐르듯 진행되어 아무 문제도 없었다. |
話が水が流れるように進んで、何の問題もなかった。 | |
・ | 해마다 교육 제도가 개선되고 있다. |
年々教育制度が改善されている。 | |
・ | 그는 손가락 안에 드는 엔지니어로, 어떤 어려운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
彼は指折りのエンジニアで、どんな難題でも解決できる。 | |
・ | 소득세란 회사 등에 부과되는 법인세와 함께 나라의 세금 제도의 중심이 되는 국세입니다. |
所得税とは、会社などに課される法人税と並んで国の税制度の中心となる国税です。 | |
・ | 앞으로의 문제도 계산에 넣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
今後の問題も計算に入れて、対策を立てるべきだ。 | |
・ | 임금체불을 구제하는 제도를 확립해야만 한다. |
賃金未払いを救済する制度を確立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상납금 제도는 불공평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上納金制度は不公平だと批判されている。 | |
・ | 동사의 어미가 바뀌면 동작의 시제도 바뀝니다. |
動詞の語尾が変わると、動作の時制も変わります。 | |
・ | 빈궁한 사람들을 위한 지원 제도가 필요하다. |
貧窮な人々に対する支援制度が必要だ。 | |
공화당(共和党) > |
이산가족(離散家族) > |
부동표(浮動票) > |
국력(国力) > |
절대 권력(絶対権力) > |
중진(重鎮) > |
측근(側近) > |
부재자 투표(不在者投票) > |
정치(政治) > |
탄핵(弾劾) > |
투표하다(投票する) > |
집회(集会) > |
중도(中道) > |
신냉전(新冷戦) > |
보수주의(保守主義) > |
총리(総理) > |
유세(遊説) > |
개각(内閣改造) > |
네거티브 캠페인(非難合戦) > |
기득권(既得権) > |
체제(体制) > |
혁신 세력(革新勢力) > |
표심(有権者の心) > |
유권자(有権者) > |
국수주의(国粋主義) > |
통치하다(統治する) > |
선언(宣言) > |
보좌관(補佐官) > |
선언문(宣言文) > |
선거하다(選挙す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