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致」は韓国語で「이치」という。
|
![]() |
・ | 사물의 이치를 알다. |
物事の道理を知る。 | |
・ | 이치에 맞지 않는다. |
筋が通らない。 | |
・ | 세상의 이치를 일찍이 깨달았다. |
世の中の道理に幼くして気づいた。 | |
・ | 그게 세상의 이치야. |
それが世の道理だ。 | |
・ | 삶의 모든 면에도 분명한 이치가 있습니다. |
人生の全ての面にも、明確な道理が有ります。 | |
・ | 자연의 이치와 세상의 이치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다. |
自然の理知と世界の理知を謙虚に受け入れる。 | |
・ | 생로병사는 자연의 이치입니다. |
生老病死は自然の理(ことわり)です。 | |
・ | 삼라만상의 이치와 삶의 존재 의미를 배우다. |
森羅万象の理知と人生の存在の意味を学ぶ。 | |
・ | 물고기 떼가 소용돌이치듯 헤엄치고 있습니다. |
魚の群れが渦を巻くように泳いでいます。 | |
・ | 궤변론자들의 논의는 이치에 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공허하다. |
詭弁論者の議論は理屈が通っているように見えるが、実は空虚だ。 | |
・ | 궤변론자는 이치를 따지고 정당화한다. |
詭弁論者は理屈をこねくり回して正当化する。 | |
・ | 후궁 안에서 정치적 책략이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
後宮の中で、政治的な策略が渦巻いていた。 | |
・ | 자연의 이치를 터득하다. |
自然の道理を体得する。 | |
・ | 그것은 우주의 섭리이자 대자연의 이치이다. |
それは宇宙の摂理で大自然の理知だ。 | |
・ | 타오르는 욕구가 그의 안에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
燃え上がる欲求が彼の内に渦巻いていた。 | |
・ | 그 조직 뒤에는 권력투쟁이 소용돌이치고 있다. |
その組織の裏には権力闘争が渦巻いている。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팽이치기(ペンイチギ) | 独楽回し、こま回し |
디에이치(ディエイチ) | DH、指名打者 |
굽이치다(クビチダ) | 曲がりくねる、うねる、折れ曲がる |
내동댕이치다(ネドンデンイチダ) | 投げつける、たたきつける |
소용돌이치다(ソヨンドロチダ) | 渦巻く、沸き立つ |
이치에 안 맞다(イチエ アンマッタ) | 理屈に合わない |
소행(仕業) > |
활황(活況) > |
동북(東北) > |
수훈(殊勲) > |
자본가(資本家) > |
기획서(企画書) > |
중재(仲裁) > |
단기전(短期戦) > |
갈무리(処理) > |
파(派) > |
이공계(理工系) > |
한류(韓流) > |
생신 선물(誕生日プレゼント) > |
수수(收受) > |
관리사무소(管理事務所) > |
웅담(熊の胆) > |
적립(積み立て) > |
바나나(バナナ) > |
디지털 기술(デジタル技術) > |
콧구멍(鼻穴) > |
리더십(リーダーシップ) > |
기숙사(寮) > |
문어(文語) > |
혼신(渾身) > |
거리(通り) > |
북극해(北極海) > |
풍(風) > |
모래(砂) > |
약자(略語) > |
다랑어(マグ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