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致」は韓国語で「이치」という。
|
![]() |
・ | 사물의 이치를 알다. |
物事の道理を知る。 | |
・ | 이치에 맞지 않는다. |
筋が通らない。 | |
・ | 세상의 이치를 일찍이 깨달았다. |
世の中の道理に幼くして気づいた。 | |
・ | 그게 세상의 이치야. |
それが世の道理だ。 | |
・ | 삶의 모든 면에도 분명한 이치가 있습니다. |
人生の全ての面にも、明確な道理が有ります。 | |
・ | 자연의 이치와 세상의 이치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다. |
自然の理知と世界の理知を謙虚に受け入れる。 | |
・ | 오십 살이면 지천명으로 하늘의 이치를 안다고 한다. |
50歳は、知天命で天の理知を知るという。 | |
・ | 이치에 안 맞는 이야기를 하고 있네. |
理屈に合わない話をしているよ。 | |
・ | 저 설명은 전혀 이치에 안 맞고 납득할 수 없어. |
あの説明は全然理屈に合わないし、納得できない。 | |
・ | 그의 말은 이치에 안 맞는다. |
彼の言っていることは理屈に合わない。 | |
・ | 이 설명은 이치에 안 맞는다. |
この説明は理屈に合わない。 | |
・ | 생로병사는 자연의 이치입니다. |
生老病死は自然の理(ことわり)です。 | |
・ | 삼라만상의 이치와 삶의 존재 의미를 배우다. |
森羅万象の理知と人生の存在の意味を学ぶ。 | |
・ | 물고기 떼가 소용돌이치듯 헤엄치고 있습니다. |
魚の群れが渦を巻くように泳いでいます。 | |
・ | 궤변론자들의 논의는 이치에 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공허하다. |
詭弁論者の議論は理屈が通っているように見えるが、実は空虚だ。 | |
・ | 궤변론자는 이치를 따지고 정당화한다. |
詭弁論者は理屈をこねくり回して正当化する。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굽이치다(クビチダ) | 曲がりくねる、うねる、折れ曲がる |
디에이치(ディエイチ) | DH、指名打者 |
팽이치기(ペンイチギ) | 独楽回し、こま回し |
소용돌이치다(ソヨンドロチダ) | 渦巻く、沸き立つ |
내동댕이치다(ネドンデンイチダ) | 投げつける、たたきつける |
이치에 안 맞다(イチエ アンマッタ) | 理屈に合わない |
노숙(野宿) > |
수임료(弁護料) > |
종결(終結) > |
중독성(中毒性) > |
용구(用具) > |
포기김치(四つ切りにして漬けたキムチ.. > |
다양화(多様化) > |
제조업(製造業) > |
식장(式場) > |
그루(~株) > |
불로장생(不老長生) > |
초봄(春先) > |
파워스톤(パワーストーン) > |
베이징(北京) > |
고유가(原油高) > |
강호(強豪) > |
녹초(へとへと) > |
전항(前項) > |
손수레(手押し車) > |
100미터 달리기(100メートル走.. > |
상쇄(相殺) > |
지휘봉(タクト) > |
감상(感想) > |
양(量) > |
원천 징수세(源泉徴収税) > |
호강(贅沢に暮らすこと) > |
송금(送金) > |
시숙(小舅) > |
한민족(韓民族) > |
신장(腎臓)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