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会性」は韓国語で「사회성」という。
|
![]() |
・ | 사회성이 부족하다. |
社会性に乏しい。 | |
・ | 그는 사회성도 부족하고 융통성은 더더욱 없다. |
彼は社会性も足りず、融通性は更に無い。 | |
・ | 기본적인 사회성이 결여되었다. |
基本的な社会性が欠如している。 | |
・ | 아이에게 사회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子どもに社会性を育てることが大切です。 | |
・ | 사회성은 집단 생활에서 필요합니다. |
社会性は集団生活で必要です。 | |
・ | 사회성을 기르는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
社会性を育てる教育が重視されています。 | |
・ | 유아기에는 사회성 발달이 시작된다. |
幼児期に社会性の発達が始まる。 | |
・ | 일반적으로 덕후라고 하면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
一般的にオタクと言えば社会性が不足した人間だという認識が強い。 | |
・ | 소아의 놀이 시간은 사회성과 창의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小児の遊び時間は、社会性や創造力の発達に役立ちます。 | |
・ | 고릴라와 침팬지는 성격이나 사회성도 다릅니다. |
ゴリラとチンパンジーは性格や社会性も違います。 |
술버릇(酒癖) > |
모나다(角が立っている) > |
용기(가) 있다(勇気がある) > |
사려(思慮) > |
뻔뻔하다(図々しい) > |
쾌활하다(陽気だ) > |
매너리즘(マンネリズム) > |
선심(善良な心) > |
불친절(不親切) > |
견실하다(堅実だ) > |
정이 많다(情が深い) > |
마음씨가 곱다(気立てがよい) > |
귀찮아하다(めんどうがる) > |
게으름뱅이(怠け者) > |
빠릿빠릿하다(キビキビとして行動が早.. > |
욕심쟁이(欲ばり) > |
칠칠맞지 못하다(だらしない) > |
기가 약하다(気が弱い) > |
고집하다(固執する) > |
자상하다(心遣いがよい) > |
사회성(社会性) > |
응석받이(甘えん坊) > |
내성적(内気) > |
덜렁덜렁하다(落ち着きのない) > |
도덕성(道徳性) > |
고집통(強情っ張り) > |
개성(個性) > |
무르다(性格がもろい) > |
어질다(賢い) > |
짓궂다(意地悪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