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衆」は韓国語で「민중」という。
|
![]() |
・ | 가난한 민중을 구하기 위해 자선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
窮貧の民衆を救うため、慈善団体が活動している。 | |
・ | 민중은 광장에 모여 항의의 목소리를 높였다. |
民衆は広場に集まり、抗議の声を上げた。 | |
・ | 민중의 의견을 반영하는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
民衆の意見を反映する政策が求められている。 | |
・ | 정부는 민중의 요구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 |
政府は民衆の要求に応える必要がある。 | |
・ | 민중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
民衆の間で意見が分かれている。 | |
・ | 민중은 새로운 지도자를 요구하고 있다. |
民衆は新しい指導者を求めている。 | |
・ | 민중 사이에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
民衆の間で不満が高まっている。 | |
・ |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정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民衆の支持を得るために政策を改善する必要がある。 | |
・ | 민중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경비가 강화되었다. |
民衆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に警備が強化された。 | |
・ | 민중의 목소리가 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
民衆の声が政策決定に影響を与えている。 | |
・ | 동란 중, 민중은 여러 번 항의를 했다. |
動乱の最中、民衆は何度も抗議を行った。 | |
・ | 그 시대의 간신배들은 민중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일에만 관심이 있었다. |
その時代の奸臣の輩は、民を苦しめることにしか興味がなかった。 | |
・ | 고대의 제사장은 신에 대한 봉사와 민중의 지도 역할을 했다. |
古代の祭司長は、神への奉仕と民の指導を行っていた。 | |
・ | 민중의 지지를 잃다. |
民衆の支持を失う。 | |
・ | 민중과 국왕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
民衆と国王の意見が対立している。 | |
・ | 정권을 쓰러뜨리려고 민중들이 일어 섰다. |
政権を打倒しようと、民衆が立ち上がった。 | |
・ | 억압된 민중은 반란을 일으켰다. |
抑圧された民衆は反乱を起こした。 | |
・ | 미온적 개혁과 연이은 실정으로 민중의 지지를 잃었다. |
生ぬるい改革と相次ぐ失政で民衆の支持を失った。 | |
・ | 세종대왕은 민중이 문자를 익히기 쉽고 사용하기 쉽도록 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
世宗大王は民衆が文字を覚えやすく、使いやすいように訓民正音を作りました。 | |
・ | 대통령과 정부는 잘못을 바로잡고 민중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
大統領と政府は、誤りを正し、民衆の声を聞くべきだ。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민중의 지팡이(ミンジュンエ チパンイ) | 警察、民衆の奉仕者 |
사범(師範) > |
한국 사람(韓国人) > |
주도자(主導者) > |
기생(妓生) > |
거수기(挙手機) > |
합죽이(歯が抜けて口がすぼまっている.. > |
등신(馬鹿) > |
농인(聴覚障害者) > |
점쟁이(占い師) > |
내빈(来賓) > |
미성년자(未成年者) > |
감염자(感染者) > |
허당(少し抜けている人) > |
말썽군(厄介者) > |
외골수(一本気な人) > |
술벗(飲み仲間) > |
이분(この方) > |
맹인(盲人) > |
빈민(貧困層) > |
술 취한 사람(酔っ払い) > |
무식쟁이(無学な者) > |
만민(万民) > |
3인방(3人組) > |
저 녀석(あいつ) > |
사내(男) > |
대가(巨匠) > |
문외한(門外漢) > |
나(僕) > |
일반인(一般人) > |
가시나(女の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