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悲観に思う」は韓国語で「비관하다」という。
|
![]() |
・ | 너무 그렇게 비관하지 마세요. |
あまりそこまで悲観に思わないでください。 | |
・ | 그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비관했다. |
彼は現実を受け入れられず、悲観した。 | |
・ | 몇 번이나 실패한 후 그는 자신감을 잃고 비관했다. |
何度も失敗した後、彼は自信を失い、悲観した。 | |
・ | 그는 예상치 못한 사건에 직면하여 비관했다. |
彼は予想外の出来事に直面して悲観した。 | |
・ | 그는 자신의 능력에 의문을 갖고 비관했다. |
彼は自分の能力に疑問を持ち悲観した。 | |
・ | 그는 실직한 후 미래에 대해 비관했다. |
彼は失業した後、未来について悲観した。 | |
・ | 그녀는 실연을 당했고 사랑에 대해 비관했다. |
彼女は失恋して、愛について悲観した。 | |
・ | 그는 뉴스를 보고 사회의 미래에 대해 비관했다. |
彼はニュースを見て、社会の将来について悲観した。 | |
・ | 그녀는 친구의 배신으로 인간관계에 대해 비관했다. |
彼女は友人の裏切りにより、人間関係について悲観した。 | |
・ | 기업들의 도산이 잇따르면서 경제 전문가들은 경기침체에 대해 비관하고 있다. |
企業の倒産が相次ぐ中、経済専門家たちは景気後退について悲観している。 | |
・ | 지구 온난화의 진행으로 과학자들은 지구의 미래에 대해 비관하고 있다. |
地球温暖化の進行により、科学者は地球の将来について悲観している。 | |
・ | 주가가 급락하자 투자자들은 경제 전망에 대해 비관했다. |
株価の急落を受けて、投資家は経済の見通しについて悲観した。 | |
・ | 자연재해의 빈발로 주민들은 지역의 안전에 대해 비관했다. |
自然災害の頻発により、住民は地域の安全について悲観した。 | |
・ | 그의 노력이 결실을 맺지 못하자 그는 비관적이 되었다. |
彼の努力が実を結ばず、彼は悲観的になった。 | |
・ | 희망과 비관은 양립할 수 없다. |
希望と悲観は相いれない。 | |
・ | 낙관과 비관은 상충한다. |
楽観と悲観は相いれない。 | |
・ | 비관론이 확산되는 원인을 분석하다. |
悲観論が広まる原因を分析する。 | |
・ | 비관론을 극복하기 위해 협력하다. |
悲観論を乗り越えるために協力する。 | |
・ | 비관론에 맞서는 힘을 기르다. |
悲観論に立ち向かう力を養う。 | |
・ | 비관론을 수용하면서 건설적으로 생각한다. |
悲観論を受け入れつつ、建設的に考える。 | |
・ | 비관론과 낙관론의 균형을 맞추다. |
悲観論と楽観論のバランスを取る。 | |
・ | 비관론을 참고하되 긍정적으로 나아간다. |
悲観論を参考にするが、前向きに進む。 | |
・ | 비관론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많다. |
悲観論を支持する声が多い。 | |
환하게 웃다(明るく笑う) > |
불만스럽다(不満そうだ) > |
울상을 짓다(泣きべそをかく) > |
슬프다(悲しい) > |
싫다(嫌い) > |
복받치다(込み上げる) > |
한(恨み) > |
쑥스러워하다(照れくさがる) > |
탄복하다(感心する) > |
수치심(羞恥の念) > |
잡념(雑念) > |
울컥하다(むかっとする) > |
비애(悲哀) > |
동정(同情) > |
시대착오(時代錯誤) > |
당혹하다(当惑する) > |
변심(心変わり) > |
중압감(重圧感) > |
혈기(血の気) > |
울음을 터뜨리다(泣く) > |
의욕(意欲) > |
속이 부글부글 끓다(心が煮える) > |
배신감(裏切られた気持ち) > |
만족하다(満足する) > |
제정신이 들다(正気に返る) > |
기대하다(期待する) > |
불안하다(不安だ) > |
상심하다(気を落とす) > |
치를 떨다(怒りで歯軋りする) > |
달갑지 않다(ありがたくな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