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火加減」は韓国語で「불 조절」という。
|
![]() |
・ | 요리는 불 조절이 중요해요. |
料理は火加減が重要です。 | |
・ | 고기를 맛있게 굽는 요령은 불 조절에 있습니다. |
肉をおいしく焼くコツは、火加減にあります。 | |
・ | 불 조절을 실패하다. |
火加減を失敗する。 | |
・ | 팬케이크를 구울 때 불 조절에 주의해 주세요. |
パンケーキを焼くときの火加減に注意してください。 | |
・ | 국을 끓일 때의 불 조절을 약한 불로 한다. |
スープを煮るときの火加減を弱火にする。 | |
・ | 불 조절을 잘못하면 요리가 타버린다. |
火加減を間違えると料理が焦げてしまう。 | |
・ |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같은 두께의 것을 구울 때라도 불 조절이 전혀 다릅니다. |
牛肉と豚肉では、同じ厚みのものを焼く場合でも、火加減が全く違います。 | |
・ | 파스타를 삶을 때 불 조절을 중불로 설정한다. |
パスタを茹でるときの火加減を中火に設定する。 | |
・ | 케이크를 구울 때는 오븐의 불 조절이 중요합니다. |
ケーキを焼くときはオーブンの火加減が大事です。 | |
・ | 닭고기를 끓일 때는 불 조절을 약한 불로 한다. |
鶏肉を煮込むときは、火加減を弱火にする。 | |
・ | 불 조절을 하면서 굽기 상태를 확인한다. |
火加減を調整しながら、焼き具合を確認する。 | |
・ | 스테이크의 굽기 정도는 불 조절에 좌우됩니다. |
ステーキの焼き加減は火加減に左右されます。 | |
・ | 불 조절이 너무 강하면 요리가 타기 쉽다. |
火加減が強すぎると、料理が焦げやすい。 | |
・ | 불 조절을 중불로 하고, 재료를 볶는다. |
火加減を中火にして、具材を炒める。 | |
・ | 불 조절을 해서 소스가 타지 않도록 한다. |
火加減を調整して、ソースが焦げないようにする。 | |
・ | 불 조절을 약하게 하여 천천히 맛을 스며들게 한다. |
火加減を弱めて、じっくりと味をしみこませる。 | |
・ | 불 조절을 중불로 해서 고소하게 구워낸다. |
火加減を中火にして、香ばしく焼き上げる。 | |
・ | 불 조절을 중불로 하여 단시간에 볶는다. |
火加減を中火にして、短時間で炒める。 | |
・ | 불 조절을 약하게 해서 장시간에 걸쳐 끓이는 요리를 좋아합니다. |
火加減を弱火にして、長時間かけて煮込む料理が好きです。 | |
・ |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정도의 불 조절로 4~5분 삶습니다. |
ふつふつと沸き立つ程度の火加減で4~5分茹でます。 | |
・ | 생선을 조릴 때는 불 조절에 신경 써야 해요. |
お魚を煮るときは、火加減に気をつけましょう。 | |
・ | 계란을 삶을 때 불 조절에 주의한다. |
卵をゆでるとき、火加減に注意する。 | |
・ | 요리할 때는 불 조절에 주의합니다. |
調理する際は火加減に注意します。 |
제분(製粉) > |
주방일(厨房の仕事) > |
재우다(寝かす) > |
야채를 볶다(野菜を炒める) > |
날로(生で) > |
송송 썰기(小口切り) > |
생선을 손질하다(魚をさばく) > |
식기를 헹구다(食器をすすぐ) > |
타다(焦げる) > |
생선을 조리다(お魚を煮る) > |
소금을 뿌리다(塩をかける) > |
메인 코스(メインコース) > |
냉동하다(冷凍する) > |
물을 타다(水を加える) > |
물기(水気) > |
칼집을 넣다(切れ目を入れる) > |
데우다(温める) > |
회를 뜨다(刺身にする) > |
삭히다(発酵させる) > |
어슷썰기 하다(斜め切りにする) > |
거품을 내다(泡立てる) > |
절이다(漬ける) > |
술(さじ) > |
식문화(食文化) > |
가미(味をつけること) > |
버무리다(和える) > |
삶은 계란을 까다(ゆで卵をむく) > |
간하다(塩味をつける) > |
손수 만든 요리(手料理) > |
으깨다(すりつぶ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