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だ」は韓国語で「묘하다」という。
|
![]() |
・ | 묘하게 빠져든다. |
妙にハマる。 | |
・ | 묘한 기분이 든다. |
妙な気持になる。 | |
・ | 그때부터 그와 묘한 관계가 시작되었다. |
それから彼との妙な関係が始まった。 | |
・ | 둘은 친한 듯 친하지 않는 묘한 관계다. |
二人は親しいようで親しくない妙な関係だ。 | |
・ | 그의 설명에는 어딘가 묘하다고 생각되는 점이 있다. |
彼の説明にはどこか妙だと思う点がある。 | |
・ |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묘하다고 느꼈다. |
映画のラストシーンが妙だと感じた。 | |
・ | 그녀의 웃는 얼굴이 어딘가 묘하다고 생각했다. |
彼女の笑顔がどこか妙だと思った。 | |
・ | 영상의 색조가 묘한데 그게 효과적이었다. |
映像の色調が妙だが、それが効果的だった。 | |
・ | 이야기의 흐름이 갑자기 묘하다고 느낄 때가 있다. |
話の流れが突然妙だと感じることがある。 | |
・ | 그의 움직임이 어딘가 묘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
彼の動きがどこか妙だと気付いた。 | |
・ | 그의 태도가 갑자기 묘하다고 느꼈다. |
彼の態度が突然妙だと感じた。 | |
・ | 범인은 경찰을 덫에 빠뜨리기 위해 교묘한 계획을 세웠다. |
犯人は警察を罠にかけるために巧妙な計画を立てた。 | |
・ | 그의 교묘한 전략은 적을 무릎을 꿇리게 할 정도로 효과적이었다. |
彼の巧妙な戦略は、敵を降参させるほど効果的だった。 | |
・ | 심상치 않게 보이는 둘의 관계에 묘한 질투를 느낀다. |
尋常ではなく見える二人の関係に妙な嫉妬を感じる | |
・ | 이중인격자인 주인공이 펼치는 기묘한 사건과 그런 주인공을 사랑하는 여성의 비극적인 로멘스를 소재로 한 영화입니다. |
二重人格者の主人公が繰り広げる奇妙な事件とそんな主人公を愛する女性の悲劇的なロマンスを題材にした映画です。 | |
・ | 짠맛 밸런스가 절묘한 일품입니다. |
塩味のバランスが絶妙な一品です。 | |
・ | 이 가상의 이야기에는 기묘한 생물이 많이 등장한다. |
この架空の物語には、奇妙な生物がたくさん登場する。 | |
・ | 화해했지만 여전히 두 사람 사이엔 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
仲直りしたが、依然として二人の間には微妙な気流が流れている。 | |
・ | 꿈껼에 기묘한 도시를 걷고 있었다. |
夢の間で奇妙な都市を歩いていた。 | |
・ | 꿈결에 기묘한 생물과 만났다. |
夢の間に奇妙な生物と出会った。 | |
・ | 케첩은 햄버그나 스테이크에 곁들이면 절묘한 조합입니다. |
ケチャップはハンバーグやステーキに添えると絶妙な組み合わせで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오묘하다(オミョハダ) | 奥妙だ、奥深い |
절묘하다(チョルミョハダ) | 絶妙だ |
기묘하다(キミョハダ) | 奇妙だ、不思議だ |
교묘하다(キョミョハダ) | 巧妙だ |
미묘하다(ミミョハダ) | 微妙だ |
우중충하다(どんよりする) > |
기고만장하다(得意の絶頂にある) > |
시원시원하다(さばさばしている) > |
노릇하다(きつね色の) > |
인간답다(人がましい) > |
잦다(少し残る) > |
불건전하다(不健全だ) > |
불쑥하다(突き出ている) > |
서툴다(苦手だ) > |
되고 싶다(なりたい) > |
허름하다(みすぼらしい) > |
조악하다(粗悪だ) > |
침침하다(薄暗い) > |
갑작스럽다(急だ) > |
볼품없다(みすぼらしい) > |
변함없다(変わりない) > |
연하다(軟らかい) > |
불량스럽다(プルリャンスロプッタ) > |
푸지다(どっさりあって見目よい) > |
땅딸막하다(ずんぐりしている) > |
가고 싶다(行きたい) > |
수월하다(容易だ) > |
독하다(強い) > |
못마땅하다(気に食わない) > |
묘연하다(不明だ) > |
시들하다(気乗りがしない) > |
바지런하다(まめまめしい) > |
바꾸어 말하면(言い換えれば) > |
시무룩하다(むっつりしている) > |
저명하다(著名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