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깜빡 잊어 먹었다. |
うっかり忘れてしまった。 | |
・ | 음식을 태워 먹다. |
料理を焦がしてしまう。(焦げて食べる) | |
・ | 음식을 시켜 먹다. |
出前を取る(注文して食べる) | |
・ | 그는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대학 시험에 떨어졌다. |
彼は頑張って勉強したにも関わらず、大学試験に落ちた。 | |
・ | 그 회사는 돈이 별로 없는데도 불구하고 부동산에 투자해 결국 망했다. |
あの会社はお金があまりないにもかかわらず、不動産に投資して倒産した。 | |
・ | 그녀는 모든 사실을 알고 있는데도 가르쳐 주지 않는다. |
彼女はすべての事実を知っているのに教えてくれない。 | |
・ | 그녀는 자기는 잘못이 하나도 없다는 식으로 얘기했다. |
彼女は、自分は間違いがまったくないというふうに話した。 | |
・ | 좀 다른 식으로 다시 한 번 해보자. |
ちょっと違ったやり方でもう一度やってみよう。 | |
・ | 그녀는 감격한 나머지 눈물까지 흘렸다. |
彼女は感激のあまり、涙まで流した。 | |
・ | 골을 넣고 너무나 기쁜 나머지 팔짝팔짝 뛰었다. |
ゴールを入れて喜びのあまり、ぴょんぴょん跳び上がった。 | |
・ | 그는 대학에 합격해서 너무나 좋은 나머지 어쩔 줄은 몰라했다. |
彼は大学に受かって、うれしさのあまり、どうしていいか分からなかった。 | |
・ | 그에게 어디 가느냐고 물었다. |
彼にどこに行くのかと聞いた。 | |
・ | 언제 먹느냐고 해요. |
いつたべるの?だって | |
・ | 친구가 언제 이사 가느냐고 그랬어요. |
友達がいつ引っ越すのかと言いました。 | |
・ | "먹을 수 있다"는 보조 용언 "수 있다"를 사용한 표현이다. |
「食べ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表現は補助用言「できる」を使っています。 | |
・ | "가고 싶다"는 보조 용언 "싶다"를 사용한 표현이다. |
「行きたい」という表現では、「たい」が補助用言です。 | |
・ | 보조 용언은 동사나 형용사에 붙여서 그 의미를 강조하거나 의지를 나타낸다. |
補助用言は動詞や形容詞に付けて、その意味を強調したり、意志を表したりします。 | |
・ | 이거 드실래요? |
これ召し上がりますか? | |
・ | 의자에 앉을래요? |
椅子に座りますか? | |
・ | 커피 마실래요? |
こヒー飲みますか? | |
・ | 결혼식 날에 그녀는 갑자기 사라져 버렸다. |
結婚式の日彼女は急に消えてしまった。 | |
・ | 핸드폰에서 사진이 다 사라져 버렸어요. |
携帯から写真がすべて消えてしまいました。 | |
・ | 지갑을 잃어 버려서 큰일입니다. |
財布をなくしてしまい、大変なんです。 | |
・ | 밤 2시부터 결승전을 한다니 잠자기는 다 틀렸네. |
夜の2時から決勝戦が始まるそうだから、寝るのはあきらめたよ。 | |
・ | 케이팝은 뭔가 다르다고나 할까. |
K-POPとはなんか違うとでも言うか。 | |
・ | 그녀는 남의 말만 너무 쉽게 믿는다고나 할까. |
彼女は他人の言葉だけとても簡単に信じるとでも言うか。 | |
・ | 언어학에서는 접사의 역할을 자세히 연구하고 있다. |
言語学では接辞の役割を詳しく研究している。 | |
・ | 일본어와 한국어의 접사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다. |
日本語と韓国語の接辞には多くの共通点がある。 | |
・ | ‘불’이라는 접사는 부정을 의미한다. |
「不」という接辞は否定の意味を表す。 | |
・ | 한글 맞춤법을 공부하고 있어요. |
ハングル正書法を勉強しています。 | |
・ | 한글 맞춤법의 기초를 배웠습니다. |
ハングル正書法の基礎を学びました。 | |
・ | 한글 맞춤법 책을 샀어요. |
ハングル正書法の本を買いました。 | |
・ | 지시 대명사는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
指示代名詞は物や人を指し示す言葉である。 | |
・ | ‘이것’이나 ‘그것’은 지시대명사의 예이다. |
「これ」や「それ」は指示代名詞の一例である。 | |
・ | 한국어의 지시대명사에는 ‘이’, ‘그’, ‘저’가 있다. |
韓国語の指示代名詞には「이」「그」「저」がある。 | |
・ | 아직 한국어 발음이 서툴러요. |
まだ韓国語の発音が下手です。 | |
・ | 그는 한국어 발음이 아주 좋습니다. |
彼は韓国語の発音がとてもいいです。 | |
・ | 외국인들은 한국어 발음이 어렵다고 해요. |
外国人たちは韓国語の発音が難しいと言います。 | |
・ | 올해는 절대 술을 끊고 말리라. |
今年は絶対お酒をやめよう。 | |
・ | 이번 달 안으로 절대 담배를 끊고 말리라. |
今月中に必ずタバコをやめよう。 | |
・ | 그 소식은 그녀도 들었으리라고 생각해요. |
その知らせは彼女も聞いただろうと思います。 | |
・ | 그 회사는 시장의 수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정하고 있다. |
その会社は市場の需要に応じて生産量を調整している。 | |
・ | 그는 그녀의 요구에 따라 계획을 변경했다. |
彼は彼女の要求に応じてプランを変更した。 | |
・ | 그 이벤트는 참가자의 요청에 따라 개선되었다. |
そのイベントは参加者の要望に応じて改善された。 | |
・ | 이것은 한국어 번역이 필요합니다. |
これは韓国語の翻訳が必要です。 | |
・ | 한국어 번역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
韓国語の翻訳をお願いできますか? | |
・ | 이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해 주세요. |
この文章を韓国語に翻訳してください。 | |
・ | 이것은 싸고도 좋은 물건입니다. |
これは安くていい品物です。 | |
・ | 저번 주부터 다리가 놓여서 배를 타지 않고도 섬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
先週から橋がかかったので船に乗らなくても島に入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 | |
・ | 한국과 일본은 가깝고도 먼 이웃나라였습니다. |
韓国と日本は近くて遠い隣国でした。 | |
・ | 요즘은 한국 사람들도 맞춤법을 틀리는 사람이 많다. |
最近は韓国人でも正書法を間違える人が多い。 | |
・ | 선생님에게 자주 맞춤법을 지적을 받았다. |
先生からしきりに正書法を指摘された。 | |
・ | 맞춤법에 맞게 글자를 써야 한다. |
綴字法に合うように字を書か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접미사 또는 접미어는 접사 중에 어간의 뒤에 붙는 것을 말한다. |
接尾辞や接尾語は、接辞のうち、語基の後ろに付くものをいう。 | |
・ | ‘가능성’에서 ‘성’은 접미사이다. |
「可能性」の「性」は接尾辞である。 | |
・ | 영어에는 접두사가 많이 있습니다. |
英語には接頭辞が数多くあります。 | |
・ | 어근을 이해하면 단어의 의미와 사용법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다. |
語幹を理解することで、単語の意味や使い方をより深く理解できる。 | |
・ | 어근을 바탕으로 동사나 명사 등이 만들어진다. |
語幹をもとに、動詞や名詞などが作られる。 | |
・ | 말을 분해할 때, 어근을 찾는 것이 기본이다. |
言葉を分解するとき、語幹を見つけることが基本です。 | |
・ | 무례하기 짝이 없다. |
無礼きわまる。 | |
・ | 기쁘기 짝이 없다. |
嬉しいことこの上ない。 | |
・ | 가증스럽기 짝이 없다. |
憎たらしいことこの上ない。 | |
・ | 배 고프단 말이에요. |
お腹が空いてるということです。 | |
・ | 내일은 내가 바쁘단 말이야. |
明日は僕が忙しいんだよ。 | |
・ | 나 돈 없단 말이야. |
俺金ないんだってば。 | |
・ | 그는 이미 다 아는 듯하다. |
彼は既に知っているようだ。 | |
・ | 누나도 여행에 같이 갈 듯해요. |
お姉さんも旅行に一緒に行くようです。 | |
・ |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집에 무슨 일이 생긴 듯합니다. |
詳しくは分からないけど、家で何か事が起こったようです。 | |
・ | 귀여워 죽겠어요. |
可愛くてたまんないです。 | |
・ | 피곤해 죽겠어. |
本当に疲れた。 | |
・ | 여자 친구가 보고 싶어 죽겠다. |
彼女に会いたくてたまらない。 | |
・ | 영희 남자친구가 잘생겼다던데 진짜야? |
ヨンヒの彼氏かっこいいって言ってたけどほんとなの? | |
・ | 퇴근 후에도 집에서 일을 하다 보면 어느새 자정을 넘기기 일쑤다. |
退社後も自宅で仕事をすると、いつの間にか深夜を過ぎるのが常だ。 | |
・ | 처음에는 실수하는 것이 일쑤였다. |
最初には失敗することが常だった。 | |
・ | 이 마을 버스는 고장도 잦고 시간도 안 지키기 일쑤입니다. |
その町のバスは故障も多く、時間も守らないのが常です。 | |
・ | 밥을 먹었다. |
ご飯を食べた。 | |
・ | 공을 찼다. |
ボールを蹴った。 | |
・ | 예산 사정으로 변경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
予算の都合で、変更を加えざるを得ません。 | |
・ | 환경 보호를 위해 대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環境保護のため、対策を講じざるを得ません。 | |
・ | 비용 절감을 위해 몇 가지 서비스를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コスト削減のため、いくつかのサービスを見直さざるを得ません。 | |
・ | 한국어와 일본어의 용언은 활용이 필요하다. |
韓国語と日本語の用言は活用が必要です。 | |
・ | "먹다"나 "달리다"와 같은 말은 용언의 예시이다. |
「食べる」や「走る」などは用言の一例です。 | |
・ | 형용사도 용언에 포함된다. |
形容詞も用言に含まれます。 | |
・ |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
依存名詞は分けて書く。 | |
・ | 귀여운 것 하며 노래를 좋아하는 걸 보니 엄마를 쏙 빼닮았구나. |
可愛いのもそうだし、歌が好きなのを見るとお母さんとそっくりだね。 | |
・ | 눈은 꼭 어머니를 닮았네그려. |
目はお母さんにそっくりだなあ。 | |
・ | 술어는 주어의 움직임이나 모습, 상태를 설명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述語は、主語の動きや様子・状態を説明する働きがあります。 | |
・ | 서술어는 문장의 끝에 오는 것이 보통입니다. |
述語は、文の終わりにくることがふつうです。 | |
・ | 한국어와 일본어는 목적어 다음에 서술어가 온다. |
韓国語と日本語は目的語の次に述語が来る。 | |
・ | 타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
他動詞は目的語を必要とする動詞です。 | |
・ | 목적어는 항상 타동사 뒤에 놓여 있습니다. |
目的語は常に他動詞の後ろに置かれています。 | |
・ | 듣기 시험 |
聞き取り試験 | |
・ | 풀기 쉬운 문제 |
解きやすい問題 | |
・ |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助詞はその前の語に付けて書く。 | |
・ | 한국어 조사를 간단하게 일람으로 만들었습니다. |
韓国語の助詞を簡単に一覧にしました。 | |
・ | 한국어에도 일본어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 조사가 있습니다. |
韓国語にも日本語に似ている機能を持つ助詞があります。 | |
・ | 밥을 먹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하세요. |
ご飯を食べるか食べないか勝手にしてください。 | |
・ | 바나나든지 망고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
バナナでもマンゴでも好きなように食べろ。 | |
・ | 키가 크든지 작든지 문제가 되지 않아요. |
背が高くても低くても問題がないです。 | |
・ | 한국어 회화 연습을 하고 있어요. |
韓国語会話の練習をしています。 | |
・ | 한국어 회화를 마스터하고 싶다. |
韓国語会話をマスターしたい。 | |
・ | 한국어 회화 실력을 향상시키고 싶습니다. |
韓国語会話のスキルを向上させたいです。 | |
・ | 격음과 평음의 구별이 생각보다 어렵다 |
激音と平音の区別が思ったよりも難しい。 | |
・ | 격음의 발음을 잘 하느냐가 키포인트다 |
激音の発音を上手にするかがキーポイントだ。 | |
・ | 명사는 문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
名詞は文章を構成する重要な要素だ。 | |
・ | 타동사는 명사를 목적어로 받는다. |
他動詞は名詞を目的語として受ける。 | |
・ |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
単位を表す名詞は分けて書く。 | |
・ | 하나의 동사가 여러 가지 뜻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一つの動詞が様々な意味を持つ事は多くあります。 | |
・ | 장어는 고급 생선의 대명사다. |
ウナギは高級魚の代名詞だ。 | |
・ | 한국어의 특징 중의 하나는 다양한 어미가 발달되어 있다는 것이다. |
韓国語の特徴の一つは、多様な語尾が発達されていることだ。 | |
・ | 어미는 동사와 형용사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
語尾は動詞や形容詞の変化を示す重要な部分です。 | |
・ | 어미가 바뀌면 단어의 의미나 문법이 변화합니다. |
語尾が変わることで、言葉の意味や文法が変化します。 | |
・ | 아나운서는 방송에서 개인적인 감정이 들어 있는 감탄사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
アナウンサーは放送中に個人的な感情を表す感嘆詞を使ってはいけないです。 | |
・ | 감탄사가 절로 나올 만큼 아름다웠다. |
感嘆詞が自然に出るほど美しかった。 | |
・ | 한국어는 받침이 어려운 것 같애요. |
韓国語はバッチムが難しいと思います。 | |
・ | 내년에는 반드시 한국어능력시험을 볼 거에요. |
来年には必ず韓国語能力試験を受けるつもりです。 | |
・ | 저는 한국어능력시험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
私は韓国語能力試験の勉強に励んでいる。 | |
・ | 한국어능력시험을 준비하면서 가끔 작문을 적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
韓国語能力試験に向けてたまに作文を書く練習をしています。 | |
・ | 한국어를 공부할 때 어려운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띄어쓰기입니다. |
韓国語を勉強する際に、難しいことの1つがこの分かち書きです。 | |
・ | 띄어쓰기는 문장의 이해를 돕습니다. |
分かち書きは文章の理解を助けます。 | |
・ | 한국어에서는 띄어쓰기가 중요합니다. |
韓国語では分かち書きが重要です。 | |
・ | 자음이란 입 안에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다. |
子音とは口の中で空気の流れを妨害することによって発する音である。 | |
・ | 한글의 자음은 19개 있습니다. |
ハングルの子音は19個あります。 | |
・ | 한국어에는 일본어처럼 모음과 자음이 있습니다. |
韓国語にも日本語と同じように母音と子音があります。 |